As Doomsday Flops, Rites in Ruins of Mayan Empire


As Doomsday Flops, Rites in Ruins of Mayan Empire

Johan Ordonez/Agence France-Presse — Getty Images
A ceremony on Friday marking the end of a 5,125-year cycle in the Mayan calendar at Tikal, the ancient Mayan city in northern Guatemala. More Photos »
  • FACEBOOK
  • TWITTER
  • GOOGLE+
  • SAVE
  • E-MAIL
  • SHARE
  • PRINT
  • REPRINTS
TULUM, Mexico — Midway through the supposed end of the world here, searing solar rays blasted a group of people lying on the beach. One of them turned to a visitor and with no trace of apocalyptic agony reported on what was obvious.
Multimedia

Readers’ Comments

“Well, we’re still here,” said James Mitchell, a tourist from London who planned to really end his day with drinks at a local bar. “But it is a little peculiar to be here on a date with those numbers.”
The date — 12-21-12 — inspired an Internet-fueled misreading of a Mayan calendar that led many to believe the end of the world would arrive.
NASA, the Vatican, Mexico’s archaeological institute, the Smithsonian Institution, the governments in places likeChina, Russia and France where hysteria took root, all declared it a misunderstanding that would make this, as several debunkers put it, the Y2K of doomsdays.
The date, aside from the winter solstice, merely marked the end of a 5,125-year cycle — the 13th baktun — and the beginning of a new one, according to interpretations of the Mayans’ long-count calendar. Mexico’s government archaeologists actually are not sure if the cycle ended Friday or in a few days.
Still, the prophecy took on a life of its own and gave birth tovigorous tourism campaigns in Mexico and Guatemala, the two countries with the heart of the Mayan empire, which also happen to be trying to burnish an image tarnished by violence.
Ceremonies were held at Mayan and other indigenous ruins, emphasizing the dawn of a new era rather than the collapse of the current one.
“It is more special today because of the date and the Mayan calendar,” said Carlos Zendejas, a shaman and restaurateur known as Charlie who led a New Age ceremony for scores of people dressed in white at the Muyil ruins near here. They filled the air with incense smoke and the sound of chimes, drumming and song.
“This day and this time, this 21st, is where all of the past and all the future meets together,” one participant said. “This is what makes it so powerful.”
Descendants of the Mayans greeted the date with a shrug, or for the dwindling numbers still practicing ancient rites, with solemn, more closed ceremonies. Workers at the Muyil ruins said some priests held rites at dawn in the surrounding forest long before tourists woke up.
Oxlaljuj Ajpop, a Mayan activist group in Guatemala, told reporters there that they objected to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date, but a large public Mayan ceremony was held at Tikal, ancient ruins in Guatemala, at dawn.
Lourdes Macial traveled from Argentina to Tulum, not to witness an apocalypse but because she believed it was a spiritual place and the last city built and inhabited by the ancient Mayans. Its ruins, some of them perched on a beach open to bathers, attract thousands.
“It’s silly to think it’s the end of the world,” she said at the Muyil ruins ceremony. “What is real is the energy that flows here and around the world.
“And,” she added with a laugh, “it keeps flowing.”
Karla Zabludovsky contributed reporting from Mexico City.

무제



무제
(2012. 12. 13)

지난 날 풀릴 것 같지 않아 내버려둔 실타래 뭉치를
오늘 다시 발견했다
왠지 이제는 풀수 있을 것 같은데
이미 내 손엔 실뭉치로 가득하고
풀어보고 싶은데
바라만 볼 수밖에 없구나
돌아서서 거울 앞에 나를 비쳐보니
새하얀 흰동자엔 핏줄기만 피어오른다

War. Ho Kang



What leads people to wage a war?  What justifies waging a war?  And is it justifiable to justify waging a war?  This moral issue has been raised throughout the human history yet nobody had succeeded in coming up with a clear answer.  It was mainly due to the gap – a great ditch – between reality and ideality.  Depending on the approach how people attempte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two created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attitudes on war ethics.  On top of that, different interpretation of ideality itself caused a birth of other perspectives.  Bellicism, for instance, which was popular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mid-twentieth century, advocated – even glorified – waging of a war.  It was because this view presupposed (idealized) that there is no eternal peaceful condition in the human society – if there is, it is nothing more than an illusion. (cf. Johann Valentin Embser)  Rather, it understood that war is an inevitable, ideal, and blessing as an indispensable and stimulating law of development, which must be repeatedly emphasized. (cf. Friedrich Von Bernhardi)
Even so, unlike bellicism, two most distinctive and traditional war theories, namely, Just War theory and pacifism, considered war as an evil, which should be ultimately eradicated and evaded.  Although they agreed on the negativity of warfare but they differed from each other with regards to how they relate reality more to ideality.  How much they could narrow the gap between those two extremities was the core controversial issue.  And it seems like Just War theory is prevailing against pacifism in a sense that people consider Just War theory to be more realistic and applicable to a real situation.  That is, people thought Just War theory narrowed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ity more than pacifism so that they, more likely, adopt the former one rather a latter one for their decision making criteria (cf. Obama administration – war on Iraq).  In contrast, people generally regarded pacifism as unrealistic assuming that it maybe only possible in theory not in a real world.  Thus, current pacifists such as Richard Norman and Stanley Hauerwas are treated as the outliers. 
Even though pacifism has been abandoned in the real world by most of people for its lack of realism but its approach was not been completely disregarded in their thought world.  Many of them are still attracted by its spirit of rejecting of all violence, even in self-defense, and moved by the stories and teachings of Jesus, Buddha, Gandhi, and King.  Yet, when it comes to their real life, people choose Just War theory over pacifism thinking that pacifism (absolute self-sacrifice) is impossible to apply to their life.  In this respect, Just War theory is like an escape route, or the last resort for incapable human beings who are not at all free from the mindset of self-defense and self-interest.  Stephen Carter supported this idea of self-defense which he believed to be natural and axiomatic, by giving a following example: “If you are walking down the street and a mugger attacks you, you might try to flee.  If you can’t get away, you will likely try to defend yourself.  If you injure your attacker in the process, no jury is going to convict you. No prosecutor is going to try.  The law follows what has come to be our shared ethical understanding: you have the right to defend yourself.[1] 
 Accepting this fact – human nature, or human incapability – was, actually, a beginning of a realism – that was, at least, what Reinhold Niebuhr argued about.  Niebuhr explained why he stood in this “realist” tradition by saying that “Christianity does not hold out redemption from history as conflict, because sinful egoism continues to express itself at every level of human life, making it impossibl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of human history[2].”  Therefore, he criticized pacifists for their excessive confidence in human perfectionism as well as their lack of comprehension on the Reformation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He, basically, accused pacifists for their lack of realism how absurd it is to expect the idealism based on the impossibility to achieve. 
But there are some people who actually went against human nature or human incapability but conducted an absolute self-sacrifice.  Let’s say you became a conscientious objector during wartime where millions of people including his or her own families were dying from a war.  This means that you respected and saved your enemy’s life by your self-sacrificial non-violent action but is it a really just to leave your family members dying from that enemy as well as leaving the country being destroyed?  If a Good Samaritan arrived at the site where robberies were still at the scene beating and stealing the Jew, what would he have done?  In regards to these issues, unlike pacifists, who still believe that they should not do anything, but many turned to Just War theory standpoint by accepting an inevitability (or, reality) of war.  In this respect, Thomas Aquinas said, “war principally not as a means to defend one’s self, but as a sacrifice one makes for others[3].”  In the same manner, Martin Luther in the sixteenth century pointed out the unavoidability of war in this way: “What men write about war, saying that it is a great plague, is all true. But they should also consider how great the plague is that war prevents.[4]  He also added that “Christians do not fight for themselves, but for their neighbor. So if they see that there is a lack of hangmen, constables, judges, lords or princes, and find they are qualified they should offer their services and assume these positions.[5]
Likewise, compared to pacifism that seemed to be unrealistic in terms of lack of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s well as not applicable to protect a bigger humanity, Just War theory was more relevant to the real world by reflecting the human nature.  In other words, Just War theory is more likely a humane, or human-oriented perspective so to speak.  However, even though Just War theory has been ruled over human ideologies since the fourth century to use of war as a last resort for both Jus ad bellum (Justice in going to war) and Jus in bello (Justice in the conduct of war), but it is so true that this theory has many limitations just as much as pacifism – or, even more. 
First of all, Just War theory attacked pacifism for its lack of understanding of human incapability. (cf. Reinhold Niebuhr)  But this challenge is self-contradictory since Just War theory also lacks understanding of the human inability.  Simply put, Just War theory never had been applied to a real situation.  The purpose of war (right intention), for instance, as Luther puts it, “has to do with a work of love for other neighbors[6].”  David Baer and Joseph Capizzi maintained that “the intention for going to war be so understood is an expression of love for the enemy just to the extent that the lasting order be one that encompasses the interests of the enemy.[7] But let’s look at the reality.  Think about wars happened in human history.  We do not need to go too far but think about wars and conflicts occurred within ten years – to name a few: Iraq War (2003- ), Shia insurgency in Yemen (2004- ), Civil war in Chad (2005–2010), Lebanon War (2006), War in Somalia (2006–2009), Gaza War (2008- ), Libyan civil war (2011- ), and so forth.  Did any of these wars and conflicts applied right intention (love for their neighbors) to initiate the war?  I doubt it.  Who would think that the United States started a war in both Afghanistan and Iraq for the love of neighbors or for their benefits per se?  Foreign policy of each government has always operated by the national interest.  “The first and most vital task of government is the security of the nation.[8] Apparently, in reality, practicing a foreign policy, including waging a war, had nothing to do with a universal welfare or, interest of others (loveing neighbors).  In this perspective, Stanley Hauerwas refuted Just War theory by saying, “the idealism of such "realist" justifications of just war is nowhere better seen than in these attempts to fit just war considerations into the realist presuppositions that shape the behavior of state actors.[9] Moreover, there was a slippery slope problem in regards to the work of prevention of war.  Since national defense has been not only a key responsibility but also just cause, it was by no means clear how much and when a government should use of violence against other powers such as preemptive attacks.  Too early, too late, too much, or too short will always bring about a problem morally and realistically. 
This ambiguity, however, caused a bigger problem that people may and actually used Just War theory as a foundation to justify their warfare.  Iraq war, for example, according to Stanley Hauerwas, did not meet the Just War category.  Hauerwas presented three reasons what made it possible for the United States conduct the second war against Iraq:  “First of all, America had a military leftover from the Cold War, which was a war that was fought according to an amoral realism.  In addition to that, America could go to war in Iraq because nothing prevented America from going to war in Iraq.  Finally, the war was justified as part of a war against terrorism.[10]  However, Hauerwas rebutted that it is unclear to fight a just war against terrorism.  It was because a just war supposed to have an end but war on terrorism, apparently, has no end.  Another reason he argued why the Iraq war was not a just was relevant to the Civil War.  Hauerwas asserted that “Americans are a people born of and in war - particularly, the Civil War - and only war can sustain our belief that we are a people set apart.[11] And he quoted Harry Stout who explained “the Civil War began as a limited war but ended as total war[12]” which led Americans to pursue even more devastating total wars in the twentieth century.  “They thought they must go to war to insure that those who died in our past wars did not die in vain. Thus American wars are justified as a "war to end all wars" or "to make the world safe for democracy" or for "unconditional surrender" or "freedom"[13].”  This implies that many wars during and after the twentieth century Americans waged were not really based on Just War theory but was a product of a national heritage transcended from the founding fathers: “A free people ought to be armed” said George Washingto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Just War theory is de facto irrelevant to reality.  Although it sounds more plausible and applicable compared to pacifism but there is no virtual difference – it failed to narrow the gap between realism and idealism.  Rather, Hauerwas insisted that “attempts to justify wars begun and fought on realist grounds in the name of just war only serve to hide the reality of war.[14]  Pointing out limitations of Just War theory, Hauerwas, indeed, finalized his argument by addressing that pacifists are “real” realist.  Despite accepting the “realism” associated with Augustine, Luther, and Niebuhr whom has taught us about how the world works, but Hauerwas realized the “real” realism does not remain in this world but in Jesus Christ. 
The way of life and thought of Jesus Christ was, literally, anti-human nature, or unrealistic from the worldly view.  Unless people experience a fundamental paradigm shift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which enables us to see the Kingdom of God in this world, it is impossible to neither understand nor accept and follow the way of Jesus.  “Jesus gave us a new way to deal with offenders – by forgiving them.  He gave us a new way to deal with violence – by suffering.  He gave us a new way to deal with money – by sharing it.  He gave us a new way to deal with problems of leadership – by drawing on the gift of every member, even the most humble.  He gave us a new way to deal with a corrupt society – by building a new order, not making the old.  He gave us a new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between parent and child, between master and slave, in which was made concrete a radical new vision of what it means to be a human person.  He gave us a new attitude toward the state and toward the enemy nation.[15]  John 18.28-38 clearly revealed “how Jesus's kingdom is not like other kingdoms of this world, but rather his kingdom is one that is an alternative to the kingdoms of this world.[16]  When Pilate asked Jesus, “Are you the King of the Jews?” (v33) Jesus answered, “My kingdom is not from this world.” (v36a)  Again, Pilate asked Jesus, “So you are a king?” (v37a) and Jesus replied, “You say that I am a king. For this I was born, and for this I came into the world, to testify to the truth. Everyone who belongs to the truth listens to my voice.” (v37b)  Finally, Pilate questioned Jesus, “What is truth?” (v38)  We could find this answer from John 14.6, “I am the way, and the truth, and the life.  No one comes to the Father except through me.”  Jesus Christ is the “real” reality who called his followers to be the part of his body and blood (Church).  That is, we, as a church body, are the “real” realism that needs to be an alternative of “faked” realisms in this world that has nothing to do with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reality and ideality.  Unless we realize the “real” reality we are not be able to reach to the idealism.  “When Christians lose that reality, that is, the reality of the church as an alternative to the world's reality, we abandon the world to the unreality of war.[17]  The Church is the hope in this world.

Bibliography
1.      Stanley Hauerwas. “War and the American Difference” MI. Baker Academic. 2011.
2.      Stephen L. Carter. “The Violence of Peace” NY. Beast Books. 2011.
3.      Stanley Hauerwas. (April 2012) “What's love got to do with it? The politics of the cross.” ABC RELIGION AND ETHIC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http://www.abc.net.au/religion/articles/2012/04/05/3471386.htm]
4.      Trevor Sather. Editor. “Pros and Cons” (18th ed.). Routledge. NY. 1999. p29-30.
5.      Sangryuel Kwon. “Moral Theological Study on Just War Theory”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2004.
6.      Sangjin Kim. “Just War Theory and Humanitarian Intervene” (M.Div Thesis). Methodist Graduate School. Seoul. 2008.
7.      Lecture note.
8.      NRSV Bible.




[1] Stephen L. Carter. “The Violence of Peace” NY. Beast Books. 2011. p13
[2] Stanley Hauerwas. “War and the American Difference” MI. Baker Academic. 2011. p23
[3] Stephen L. Carter. “The Violence of Peace” NY. Beast Books. 2011. p160
[4] Ibid. p22
[5] Stanley Hauerwas. “War and the American Difference” MI. Baker Academic. 2011. p23
[6] Ibid. 
[7] Ibid. p25
[8] Stephen L. Carter. “The Violence of Peace” NY. Beast Books. 2011. p7
[9] Stanley Hauerwas. “War and the American Difference” MI. Baker Academic. 2011. p25
[10] Ibid. p26
[11] Ibid. p27
[12] Ibid. p27
[13] Ibid. p32
[14] Ibid. p34
[15] Stanley Hauerwas. (April 2012) “What's love got to do with it? The politics of the cross.” ABC RELIGION AND ETHIC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http://www.abc.net.au/religion/articles/2012/04/05/3471386.htm] 
[16] Ibid.
[17] Stanley Hauerwas. “War and the American Difference” MI. Baker Academic. p34

<가족의 재편> ①핵가족마저 분열하는 사회



(자료사진)

미혼 확산·출산 기피에 1~2인 가구 증가세 뚜렷

20년 뒤에는 10가구 중 7가구꼴 1~2인 가구 전망

(서울=연합뉴스) 기획취재팀 = 핵가족이 무너지고 있다.

미국의 인류학자 조지 피터 머독이 저서 '사회 구조(Social Structure·1949)'에서 '핵가족(Nuclear Family)'이라는 용어를 썼을 때만 하더라도 그는 핵가족이 붕괴하는 현상을 상상조차 하지 못했을 것이다.

부모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은 '더 쪼갤 수 없는, 가족의 최소 단위'로 여겨졌기 때문.

핵가족 형태의 가족은 근대 이전에도 있었으나 근대 산업사회의 도래와 함께 일반화했다. 남편은 밖에서 돈을 벌고 아내는 가사를 맡는 '역할 분담' 모델을 기반으로 해 사회에 노동력을 공급하는 기초단위 역할을 한 것이다.

그러나 이제 핵가족마저 파편화하고 있다. 핵가족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1~2인 가구가 이미 전체 가구의 절반에 이르렀고 이런 추세는 앞으로 가속화할 전망이다.

학계 일각에서는 전통적 대가족과 핵가족에 이어 1인 가구가 '제3의 가족' 형태로 등장했다면서 가족 구조의 '혁명'이라고 일컫고 있다.

이 혁명은 인구 고령화, 사별에 따른 독거노인의 증가에만 기인하는 게 아니라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 비혼(非婚)의 증대, 출산ㆍ양육 기피, 이혼의 증가 등이 복합된 결과다.

◇1인 가구 증가의 핵심은 미혼 확산 = 회사원 김지연(32·여·가명)씨는 이른바 '골드미스'다. 결혼을 하지 않겠다는 신념도 없지만, 꼭 해야겠다는 생각도 없다.

"현재의 내 생활이 편하고 앞으로도 혼자 잘 꾸려나갈 수 있을 것 같아요. 결혼한 선배들을 보면 애 키우기도 너무 어렵고, 육아와 일을 병행하기도 어렵고…. 아이한테 투자할 돈과 시간, 에너지를 나를 위해 쓰면 그것도 나름대로 재미있지 않을까 생각해요. 물론 좋은 남자를 만나면 결혼하고 아이를 낳을 수도 있겠죠."

김씨처럼 결혼 적령기를 맞이하고도 결혼하지 않는 미혼인구는 1인 가구 증가에 '1등 공신'이다.

통계청의 '2010 인구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2010년 우리나라의 가구 수는 총 1천733만9천가구로 이 가운데 1~2인 가구가 48.2%에 이른다. 2인 가구가 420만5천가구(24.3%), 1인 가구가 414만2천가구(23.9%)였다.

전통적 표준가구에 해당하는 4인 가구(부부 + 미혼자녀 둘)는 22.5%(389만8천가구)로 그다음이었다. 2005년 조사까지만 해도 4인 가구가 27.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1~2인 가구에 밀린 것.

20년 전인 1990년 '4인 가구(29.5%)-3인 가구(19.1%)-5인 가구(18.8%)'가 주류였던 점에 비춰보면 급격한 변화를 실감할 수 있다. 1990년 1인 가구와 2인 가구의 비중은 각각 9.0%, 13.8%에 불과했다.

핵가족 해체 현상은 가구의 구성 유형에서도 확인된다.

전체 가구 가운데 부부 가구가 17.5%, 독신 가구가 23.9%, 편부모 가구인 모자가구와 부자가구가 각각 7.2%, 2.0%로 이를 모두 합하면 50.2%에 달한다. 과반이 전형적인 핵가족의 범주에서 벗어난 것이다.

1~2인 가구가 이처럼 급증한 이유는 뭘까?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영철 부연구위원 등이 작성한 '가구 유형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에 따르면 최근 10년 사이 1인 가구 증가에 가장 크게 기여한 요인은 미혼율 증대다.

10년간 1인 가구가 191만7천가구 늘었는데 그 가운데 미혼 상태의 1인 가구가 88만6천가구 늘어 증가분의 46.2%로 가장 많았다. 사별은 22.3%, 이혼은 17.6%였다.

미혼 1인 가구 증가는 남성에서 더 두드러졌는데 남성 1인 가구 증가의 54.5%가 미혼 탓이었고 이혼 탓인 경우는 19.0%였다. 여성은 미혼이 37.6%, 사별이 36.0%, 이혼이 16.2%를 차지했다.

2인 가구의 증가 원인으로는 '자녀 분가'에 따른 고령부부의 증가와 이혼ㆍ분가 확산에 따른 편부모 가구의 증가가 꼽혔다. 10년 사이 증가한 2인 가구 중 부부만으로 이뤄진 2인 가구가 61.5%를 차지했고 모자가구가 18.7%, 부자가구가 7.0%를 차지한 것이다.

◇20여년 뒤에는 10가구 중 일곱이 1~2인 가구 = 통계청의 '장래가구추계: 2010∼2035년'은 더 어두운 미래를 제시한다.

2035년 국내 총 가구는 2천226만1천가구로 30%가량 늘지만, 평균 가구 구성원 수는 2010년 2.71명에서 2035년 2.17명으로 줄어든다.

1인 가구가 34.3%(762만8천가구)로 늘어 가장 보편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 잡고 2인 가구(34.0%·757만9천가구)가 그 뒤를 잇는다. 3인 이상 가구 비중은 31.7%에 그친다.

10가구 중 7가구꼴로 전통적인 '표준가족' 범주에 들지 않는 1~2인 가구인 셈.

가족 구성원을 기준으로 유형을 나누면 2010년에는 '부부 + 자녀' 형태의 가구가 37.0%로 가장 많았으나 2035년에는 20.3%로 비중이 작아진다.

대신에 1인 가구(34.3%)와 부부로만 이뤄진 2인 가구(22.7%)가 1, 2위가 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부부 가구는 자녀를 갖지 않은 가구보다는 주로 자녀를 독립시킨 뒤 노부부만 남은 가구가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앞으로 증가할 1인 가구는 미혼보다는 고령화 탓이 될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는데 통계청 관계자는 "2035년까지 65세 이상 1인 가구는 연평균 9만5천가구씩 늘어 전체 1인 가구 증가의 68.3%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선진국 이미 거쳐 간 길…한국은 '과속' = 1인 가구 증가는 우리나라만의 상황이 아니다. 가깝게는 일본부터 유럽·북미 선진국들이 이미 겪은 현상이다. 그만큼 되돌리기 어렵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KDI의 '가구 유형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의 경우 2006년 기준 1~2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65%를 차지했고 3~4인 가구는 29%에 불과하다.

독일은 2005년 기준 1~2인 가구가 71.4%, 3~4인 가구가 24.8%였으며 가장 먼저 가족 해체가 진행된 북유럽 국가 중 한 곳인 스웨덴의 경우 2009년 이미 1인 가구의 비중이 48.6%에 달했다.

김연수 KDI 부연구위원은 "유럽에서도 만혼, 이혼 증대, 고령화, 독거노인의 증가 등으로 말미암아 1~2인 가구가 늘고 있다"며 "다만 유럽은 이런 변화가 점진적이었던 데 비해 우리는 급속하게, 압축적으로 겪고 있다는 점이 차이"라고 말했다.

또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인 가구의 부상은 대가족, 핵가족에 이은 제3의 가족 혁명이라고 할 만하다"며 "기존 개념과 다른,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늘어나는 현실을 인정하고 정책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sisyphe@yna.co.kr

‘남자의 종말’?… 이혼 당하는 남편들, 왜?


지난해 이혼 10명 중 6명이 40~50대…경제·심리 절벽으로 ‘위기의 중년’
‘삼식이’는 아내에게 쫓겨났다… 중년남성 이혼위기 탈출법



40대 후반의 이모 씨는 최근 아내 눈치를 보는 일이 잦아졌다. 퇴근 후에는 설거지, 쓰레기 처리 등 집안일을 ‘스스로’ 찾아서 한다. 4개월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던 일이다. 평소 같으면 PC방에서 밤새우느라 외박하고, 월급을 받아도 “용돈이 부족하다”며 쥐꼬리만한 생활비조차 주다 말다 하던 이씨였다. 그러던 그가 180°로 태도가 바뀐 건 전업주부이던 아내가 직장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다. 이후 아내 입에서 습관처럼 흘러나오던 ‘이혼’ 소리가 싹 사라진 게 오히려 이씨를 더 불안하게 했다. 

“아내가 버는 돈이 내가 주던 생활비보다 많다. 그 돈으로 혼자 아이를 키우며 살 수 있으니까 속으로 벼르는 것 같다.” 

자신이 달라지지 않으면 언제든 이혼당할 수 있다는 걸 뒤늦게 깨달은 이씨는 “이 나이에 이혼하는 건 생각만 해도 두렵다”고 말했다. 그는 주말이면 예전과 달리 아이와 아내 곁을 맴돌며 관심을 끌려고 안간힘을 쓴다. 

최근 미국 여성 언론인이 쓴 ‘남자의 종말’이 국내에 소개돼 화제다. 이미 몇 년 전부터 서점가에는 ‘일회용 남자’ 등 위기에 처한 남성 이야기를 다룬 책이 쏟아졌다. 급기야 최근에는 “남편과 아버지 기를 살려 가정을 바로 세우겠다”며 캠페인에 나선 여성단체도 등장해 주목을 끌었다. 

이혼이 두려워 떠는 남편들 

요즘 우리 사회 중년남성은 직장에서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갈수록 입지가 좁아지면서 위기감을 느끼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들이 술자리에서 자주 하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나이 들면서 필요한 5가지’가 그것. 남성의 경우 첫째 마누라, 둘째 아내, 셋째 애들 엄마, 넷째 집사람, 다섯째가 와이프다. 반면 여성은 첫째 딸, 둘째 돈, 셋째 건강, 넷째 친구, 다섯째 찜질방이다. 남성들은 “아내에게 필요한 다섯 가지 가운데 맨 끝에도 ‘남편’은 없다”며 술을 들이킨다. 

그런가 하면 중년여성 사이에서 오래전부터 유행한 ‘삼식이 시리즈’는 최근 진화한 형태로 등장했다. 남성이 은퇴 후 집에서 세 끼를 꼬박꼬박 챙겨먹으면 ‘삼식이새끼’, 밖에서 세 끼를 전부 해결하면 ‘영식님’, 집에서 세 끼와 간식까지 챙기면 ‘종간나새끼’라는 것.

술자리나 모임에서 회자되는 우스갯소리 외에 ‘위기의 중년남자’ 시대가 다가온 걸 실감 나게 보여주는 것이 통계청의 이혼 통계 추이다. 20대 젊은 층의 이혼건수는 2001년 1만4474건에서 2006년 8414건, 2011년 5244건으로 대폭 줄어든 반면, 40~50대 연령층의 이혼건수는 같은 기간 각각 5만9975건, 6만4649건, 6만9469건으로 10년 사이 1만 건 가까이 증가했다. 더 큰 문제는 전체 이혼율 가운데 이들 중년부부의 이혼이 차지하는 비율이 해마다 가파르게 증가한다는 점이다. 40~50대 이혼이 전체 이혼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01년 45%, 2006년 52%, 2011년 61%였다. 지난해 이혼한 10명 가운데 6명이 40~50대였던 셈이다.

아내가 원하는 이혼이 압도적

이혼 이야기를 다룬 KBS 2TV 드라마 ‘부부 클리닉 사랑과 전쟁’. 
한편 한국가정법률상담소가 지난해 여의도본부에서 실시한 면접상담 1만1073건을 분석한 결과, 이혼 상담이 5177건으로 46.8%를 차지했다. 그중 40대 여성이 1435명, 남성이 268명으로 남녀 모두 40대의 이혼 상담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호소한 재판상의 이혼사유를 살펴보면, 남녀 모두 ‘기타 사유’가 가장 많았다. 여성의 경우 기타 사유로 경제 갈등, 성격 차이, 배우자의 생활무능력 순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외 남편 폭력, 남편 외도가 많았다. 남성의 경우 기타 사유로 성격 차이, 장기 별거, 생활양식 및 가치관 차이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아내 가출과 아내 외도가 많았다.

중년부부의 이혼이 갖는 특징은 이혼을 요구하는 10명 가운데 8~9명이 여성이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이혼을 ‘당하는’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얘기다. 1995년부터 대한민국 남성의 고민을 상담해온 ‘남성의 전화’(소장 이옥이)는 한 달 평균 300여 건을 상담한다. 상담소 측에 따르면, 상담자 가운데 40~50대 중년남성이 70%를 차지한다. 10명 가운데 9명은 이혼 위기나 부부 갈등, 가정 폭력 등의 문제로 찾지만, 10명 가운데 1명은 이혼당한 남성들이 상담을 해오는 것. “아내에게 이혼당하고, 살던 집에서도 맨몸으로 쫓겨났다” “너무 힘들어서 아내와 재결합하고 싶은데 연락도 못하게 한다” “일도 없고 세상으로부터 완전히 고립됐다. 이렇게 살아서 뭐하나, 죽고 싶다” 등 구구절절한 사연을 털어놓으며 눈물을 보이는 남성이 적지 않다. 

직장에서 퇴직한 후 1년 만에 이혼당한 50대 초반 김모 씨는 “더는 살고 싶은 생각이 없다”며 갈수록 삶의 의욕을 잃어가고 있다. 월 200만 원 가까운 수입 가운데 절반을 중·고교생 두 아이의 양육비로 전처에게 보내지만 아이들을 만날 수가 없다. 전화를 걸면 전처는 “아이들이 당신을 보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핑계로 김씨와의 만남을 가로막는다. 아이들이 보고 싶어 전처 집을 찾아갔는데 문을 열어주지 않자 김씨는 홧김에 현관문을 발로 차고 소동을 피웠다. 전처의 신고로 경찰이 출동했고 이를 빌미로 법원에서 접근금지명령 처분을 당한 김씨는 아이들 보기를 포기했다. 분노와 좌절감, 우울증에 시달리는 김씨는 외출은 물론, 사람들과의 만남도 피한다.

결혼생활 20년 안팎의 중년부부가 이혼할 경우, 특히 중년남성에게 여러 문제가 생긴다. 이옥이 소장에 따르면 “내가 그동안 누굴 위해 뼈 빠지게 일했는데 이제 와서 아내와 자식이 나한테 이럴 수 있나” 하는 억울함과 분노감 외에 “외롭다”라고 하소연하는 남성이 많고, 심하면 자살충동을 느끼거나 실제로 자살시도를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것. 

한편 중년부부가 이혼하면 대부분 기존 재산을 절반씩 나누게 된다. 이 때문에 이혼 후 쪼그라든 재산으로 셋집을 전전하며 살다 노후에 ‘홀몸노인이나 쪽방노인으로 전락하지 않을까’ 하는 공포감을 느끼는 중년 이혼남도 적지 않다. 반면 이혼하면서 재산 절반을 차지한 중년여성은 남성에 비해 가사 도우미나 식당일, 간병인 등 상대적으로 일자리를 구하기가 수월한 편이다. 그래서 경제적으로 쪼들릴 일이 과거 이혼녀에 비해 현저히 줄었다. 그뿐 아니라 손자손녀를 봐주면서 생활비를 충당하고, 이혼 후에도 자식과의 친밀감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족으로부터 고립되는 경우도 거의 없다. 

그에 반해 이혼한 중년남성의 삶은 녹록지 않다. 중년남성이 이혼 ‘당하지’ 말아야 할 이유를 살펴보면, 그들이 처한 상황을 알 수 있다. 첫째, 재산분할로 경제적으로 쪼들리는 것은 물론, 은퇴하면 그 나이에 새로운 일자리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 둘째, 평소 집안일에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혼자 식사를 해결하기가 어렵다. 셋째, 여성에 비해 병원 가기를 귀찮아하고 약 먹기를 소홀히 하는 남성의 특성 탓에 건강이 나빠지기 쉽다. 

이혼 피해야 할 7가지 이유

넷째, 자녀와의 단절을 부른다. 흔히 자식은 부모가 이혼할 경우 평소 친밀도가 높은 엄마와는 가깝게 지내는 반면, 아빠는 잘 찾지 않는다. 다섯째, 손자손녀를 보기 어렵다. 여성은 이혼해도 맞벌이 자녀를 위해 손자손녀를 돌봐줄 수 있지만, 남성은 어렵기 때문에 자식이 아빠에게 아이들을 잘 맡기지 않는다. 여섯째, 부부동반 모임이나 동창 모임 등에 나갈 수 없어 사회적 관계가 단절된다. 아직까지 우리 사회는 여성이 이혼하면 “남편에게 문제가 있나 보다”라고 동정하는 경우가 많지만, 남성의 경우 친구 사이에도 ‘남자가 오죽 못났으면’ 하는 눈총을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일곱째, 자녀와의 단절과 사회적 관계의 단절은 우울감, 무력감, 외로움을 유발할 뿐 아니라 심하면 자살충동을 부른다. 

이옥이 소장은 “남성이 여성보다 훨씬 약자다. 힘든 일이 있을 때 여자 형제나 친구들을 만나 고민을 털어놓는 여성과 달리, 남성은 그런 소통 통로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또 여성은 경제력이 떨어진 뒤에도 여전히 당당하게 살 수 있지만, 중년남성은 그야말로 아무도 쳐다보지 않는 무기력한 존재로 전락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년남성이 이혼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평소 아내, 아이들과 대화를 자주 하고 함께 하는 시간을 많이 가지면서 끈끈한 애정과 신뢰를 쌓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 중년남성이 회사 일이 바쁘고 피곤하다는 핑계로 그걸 너무 못해서 나이 들어 이혼당하고 힘들고 외로운 상황을 자초한다”며 안타까워했다.


■ 인터뷰 ㅣ 서울가정법원 가사조정위원회 이윤수 위원장
“‘죽어도 이혼 못 해’…남자가 매달리고 읍소”

전체 이혼건수에서 중년부부 이혼이 차지하는 비중이 해마다 큰 폭으로 늘면서 이들의 이혼이 최근 가정법원의 이슈가 될 정도다. 10여 년간 서울가정법원 가사조정위원으로 활동해오다 지난해부터 위원장직을 맡은 이윤수(비뇨기과 전문의·사진) 씨는 “10년 전부터 60대 황혼이혼이 우리 사회에서 문제로 떠올랐지만 요즘은 황혼이혼 연령이 점차 낮아지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이혼 조정을 맡은 조정위원 눈에 비친 중년부부의 이혼 풍경이 궁금하다.

“정확한 통계를 내보진 않았지만, 중년부부의 이혼 10건 가운데 9건이 여성 쪽에서 이혼을 청구한다. 이혼을 결심한 이유야 여럿 있겠지만, 한마디로 말하면 여성 쪽에서는 ‘더는 네 꼴을 못 봐주겠다’는 것이고, 남성은 ‘집 한 채뿐인 재산을 반으로 나누면 그걸로 어떻게 사느냐, 죽어도 이혼 못 해주겠다’고 매달리며 읍소하는 모습을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다.”

40~50대 이혼사건조정 사례 가운데 이혼당할 위기에 처한 남성의 사례로는 어떤 것이 있었나.

“은퇴한 지 2년 된 50대 중반 남성이 아내에게 이혼 요구를 받았다. 남성이 평생 금융계에서 일하다 보니 꼬장꼬장한 성격에다 숫자에도 밝아 아내가 쓰는 생활비를 일일이 검사하고 따지고 잔소리를 해대자 여성이 폭발한 것이다. 또 다른 사례로는 맞벌이 부부인 아내가 일 때문에 야근이나 회의로 늦게 귀가하자 남편이 외도를 의심해 통화내용을 몰래 녹취하는 등 아내의 일거수일투족에 집착하다 이혼소송을 당한 경우도 있었다.”

그 밖에 20년을 함께 산 부부가 이혼하겠다는 또 다른 이유가 있나.

“겉으로는 ‘성격 차이’ 때문에 이혼한다지만, 조정 과정을 거치다 보면 진짜 이유가 ‘섹스리스’에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 여성은 중년이 되면 성욕이 떨어지는 반면, 남성은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욕이 높기 때문에 성생활이 부부 사이에 트러블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이혼을 요구하는 여성은 ‘넌 섹스만 먹고 사냐?’, 남성은 ‘그럼 밥만 먹고 사냐?’며 다투기도 한다.”

한국성과학연구소(소장 이윤수)가 전국 기혼남녀 20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결혼생활만족도를 묻는 질문에서 남성은 83%가 만족한다고 응답한 반면, 여성은 62%만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결혼생활이 불만족스러운 이유를 묻는 질문에서는 남성의 34%가 ‘성관계 불만’을 꼽은 반면, 여성은 18%에 불과했다. 이 위원장은 “부부 사이에 성관계가 원만하지 않다 보니 서로 불만과 짜증이 쌓이고 틈이 점점 벌어져 나중에는 ‘밥 먹는 모습도 꼴 보기 싫다’며 아내가 이혼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혼 ‘당하는’ 남성이 여성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이유는 뭔가.

“평소 가정보다 직장생활을 더 중요시 여겨 가족에 소홀하고 그 습관을 퇴직 후까지 버리지 못하다 보니 문제가 발생한다. 그동안 여성의 인식은 엄청나게 변했는데 변화에 둔감한 남성은 여전히 집에서 손끝 하나 까닥하지 않은 채 TV 리모컨이나 만지작거리고 잔소리를 해대니까 여성이 더는 못 살겠다고 반기를 드는 것이다.”

이 위원장은 “지금의 40~50대 중년남성은 아버지로부터 가부장적 권위를 물려받은 마지막 세대다. 어찌 보면 측은하고 불쌍한 게 요즘 중년남성”이라고 말했다.  

박은경 객원기자 siren52@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