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 1

우상을 섬김으로 인해 하나님으로부터 벌을 받을 것이라는 말씀

1. The word of the LORD which came to Micah of Moresheth in the days of Jotham, Ahaz and Hezekiah, kings of Judah, which he saw concerning Samaria and Jerusalem.

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 나타난다. 눈으로 봄으로써 인식하고, 이를 통해 선악을 분별하며, 나아가 하나님의 말씀을 계시받기도 한다. 전혀 인지하고 있지 못하던 것들에 대해 계시를 받는다는 말이 아니다.(혹시 모른다. 다른데 있을지도. 하지만 내가 아는한 성경에는 없다.)
여기서 하나님의 말씀을 계시받는다는 것의 의미를 깊이 묵상해 보고 싶다. 과연 하나님께서 1. 강권적으로 나타나셔서 – 흔히 영화에서 보면 계시 받을 때 눈이 뒤집히고, 주변에 회오리 바람이 일어나는 등의 현상을 나타내며 – 계시하는 것인지, 아니면 2. 현상을 보다가 갑자기 개인의 뇌리에 스치는 생각인지 궁금하다.
왜, 하나님과 함께 거하면서 거룩한 상태에 이르다보면, 하나님의 마음을 아는 단계가 있지 않은가. 즉, 하나님이 슬퍼하시는 것이 곧 내 슬픔이 되고, 하나님의 기뻐하시는 것이 곧 내 기쁨이 되는 것 말이다.
따라서 내 생각에는, 미가 역시 하나님 안에 거하면서 하나님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면서 떠오르게 된 생각을 계시로 받아들였다고 볼 수 있겠다. 그 상태에서는 가히 인간의 차원에서 예견할 수 없는 놀라운 예견 – 예를 들면, 메시아의 출현 장소와 같은 – 이 발생되기도 한다. 왜냐면, 살아계신 하나님께서 역사하시는 것이니까.

2. Hear, O peoples, all of you; Listen, O earth and all it contains, And let the Lord GOD be a witness against you, The Lord from His holy temple

여기서 땅을 보면서 펄벅에서 나오는 earth가 생각난다.

3. For behold, the LORD is coming forth from His place He will come down and tread on the high places of the earth


보아라! 여호와께서 그 계시던 곳에서 나오신다. 이 땅에 내려오셔서 산꼭대기를 밟으신다
한글에서는 산꼭대기를 밟으신다고 표현했다. 이는 아마도 다음 4절에 나오는 mountain과 valley라는 단어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나는 여기서 조금 더 나아가 - 앞서 2절에서는 하나님께서 땅위의 모든 것들은 들으라고 말씀하셨다는 것을 주안하여 - 땅 위의 높은 것들을 단지 물리적 차원의 지형을 얘기한다기 보다는 , 보이지 않는 권세 즉, 교만함까지 얘기하신다고 생각한다.

5. All this is for the rebellion of Jacob And for the sins of the house of Israel. What is the rebellion of Jacob? Is it not Samaria? What is the high place of Judah? Is it not Jerusalem?

하나님께서 내리시는 심판의 이유가 야곱의 허물과 이스라엘의 죄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야곱의 허물은 사마리아 때문이며, 유다가 우상을 섬긴 책임이 예루살렘에 있다고 말씀하셨다. 여기서 high place를 한글성경에서는 우상으로 보았다.
왜 하나님께서는 예루살렘을 지목하셨을까?

11. Go on your way, inhabitant of Shaphir, in shameful nakedness The inhabitant of Zaanan does not escape. The lamentation of Beth-ezel: "He will take from you its support."

결국 하나님의 벌은 포로로 만드는 것이었구나.

13. Harness the chariot to the team of horses, O inhabitant of Lachish-- She was the beginning of sin To the daughter of Zion-- Because in you were found The rebellious acts of Israel

여기서 라기스는 예루살렘 남서쪽 40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성읍으로, 최초 유다 왕 르호보암이 이집트의 공격에 대비할 목적으로 요새화된 성읍을 쌓았으나(대하11:5-10) BC 590년 경에 예수살렘 성과 함께 파괴되었다.(렘 34:7) 시온은 예루살렘의 남서쪽에 위치한 산이며, 그 곳에 위치한 요새의 이름이기도 하다.(삼하 5:6) 후에 이곳을 정복한 다윗이 다윗 성이라 칭하고 이곳에 법궤를 안치하면서부터 시온은 이스라엘의 중심지가 되었다.(삼하 5:6-9; 왕상 8:1; 대상 11:5) 여기서 딸이란 의미는 장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성경에서 한 지역, 나라, 장소를 의인화하고 거기의 모든 사람을 집합적으로 말할 때(시48:11) 딸이란 표현을 사용하였다. C.f. 딸 시온(시 9:14); 딸 다시스(사 23:10); 딸 바벨론(사 47:1); 딸 애굽(렘 46:24); 시온 딸(마21:5)
따라서 이를 종합해 볼 때, 이스라엘의 범죄가 시온성 그리고 그 이후, 라기스 성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곧 모두에게 심판을 초래했다.

14. Therefore you will give parting gifts On behalf of Moresheth-gath; The houses of Achzib will become a deception To the kings of Israel

하나님의 심판으로 인해 그들이 살던 가드 땅 모레셋을 떠날 수 밖에 없었고 가나안 땅에 아십 지역의 토착민들은 도망치는 그들을 무시할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영어에서 deception을 한글성경에서는 마른 우물이라고 해석했음에서 이를 유추할 수 있다.

15. Moreover, I will bring on you The one who takes possession, O inhabitant of Mareshah The glory of Israel will enter Adullam

마레사는 유다지파에게 분배된 성읍이다(수 15:44). 르호보암 왕 때 이곳을 요새화 했다(대하 11:8). 아둘람은 유다 산지와 베들레헴에서 서남쪽으로 약 20km에 위치한 성읍이며, 여호수아에게 점령된 뒤 유다지파에게 주어졌다.(수 15:35) 르호보암은 이곳에 성읍을 건축하여(대하 11:7) 왕국을 강화시켰으며, 포로에서 귀환한 뒤 유다자손은다시 이곳에 거주하였다.(느 11:30) 여기서 영광이란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하는게 맞는 것 같다.

16. Make yourself bald and cut off your hair, Because of the children of your delight; Extend your baldness like the eagle, For they will go from you into exile

너희는 사랑하는 자녀를 위해 머리를 밀고 대머리를 만들어라. 너희의 자녀가 낯선 땅으로 끌려갈 것이니 너희는 독수리처럼 대머리를 만들어라
이 대목만 보면 하나님의 무자비함을 느낀다. 물론, 이스라엘 백성의 죄로 인해 인내하시던 하나님께서 결국 심판을 하시지만, 그 과정에서 relentless한 하나님의 모습을 성경을 통해 목격하게 된다. 잔인하다는 느낌이 든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