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Debate.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Debate. Show all posts

War. Ho Kang



What leads people to wage a war?  What justifies waging a war?  And is it justifiable to justify waging a war?  This moral issue has been raised throughout the human history yet nobody had succeeded in coming up with a clear answer.  It was mainly due to the gap – a great ditch – between reality and ideality.  Depending on the approach how people attempte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two created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attitudes on war ethics.  On top of that, different interpretation of ideality itself caused a birth of other perspectives.  Bellicism, for instance, which was popular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mid-twentieth century, advocated – even glorified – waging of a war.  It was because this view presupposed (idealized) that there is no eternal peaceful condition in the human society – if there is, it is nothing more than an illusion. (cf. Johann Valentin Embser)  Rather, it understood that war is an inevitable, ideal, and blessing as an indispensable and stimulating law of development, which must be repeatedly emphasized. (cf. Friedrich Von Bernhardi)
Even so, unlike bellicism, two most distinctive and traditional war theories, namely, Just War theory and pacifism, considered war as an evil, which should be ultimately eradicated and evaded.  Although they agreed on the negativity of warfare but they differed from each other with regards to how they relate reality more to ideality.  How much they could narrow the gap between those two extremities was the core controversial issue.  And it seems like Just War theory is prevailing against pacifism in a sense that people consider Just War theory to be more realistic and applicable to a real situation.  That is, people thought Just War theory narrowed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ity more than pacifism so that they, more likely, adopt the former one rather a latter one for their decision making criteria (cf. Obama administration – war on Iraq).  In contrast, people generally regarded pacifism as unrealistic assuming that it maybe only possible in theory not in a real world.  Thus, current pacifists such as Richard Norman and Stanley Hauerwas are treated as the outliers. 
Even though pacifism has been abandoned in the real world by most of people for its lack of realism but its approach was not been completely disregarded in their thought world.  Many of them are still attracted by its spirit of rejecting of all violence, even in self-defense, and moved by the stories and teachings of Jesus, Buddha, Gandhi, and King.  Yet, when it comes to their real life, people choose Just War theory over pacifism thinking that pacifism (absolute self-sacrifice) is impossible to apply to their life.  In this respect, Just War theory is like an escape route, or the last resort for incapable human beings who are not at all free from the mindset of self-defense and self-interest.  Stephen Carter supported this idea of self-defense which he believed to be natural and axiomatic, by giving a following example: “If you are walking down the street and a mugger attacks you, you might try to flee.  If you can’t get away, you will likely try to defend yourself.  If you injure your attacker in the process, no jury is going to convict you. No prosecutor is going to try.  The law follows what has come to be our shared ethical understanding: you have the right to defend yourself.[1] 
 Accepting this fact – human nature, or human incapability – was, actually, a beginning of a realism – that was, at least, what Reinhold Niebuhr argued about.  Niebuhr explained why he stood in this “realist” tradition by saying that “Christianity does not hold out redemption from history as conflict, because sinful egoism continues to express itself at every level of human life, making it impossibl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of human history[2].”  Therefore, he criticized pacifists for their excessive confidence in human perfectionism as well as their lack of comprehension on the Reformation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He, basically, accused pacifists for their lack of realism how absurd it is to expect the idealism based on the impossibility to achieve. 
But there are some people who actually went against human nature or human incapability but conducted an absolute self-sacrifice.  Let’s say you became a conscientious objector during wartime where millions of people including his or her own families were dying from a war.  This means that you respected and saved your enemy’s life by your self-sacrificial non-violent action but is it a really just to leave your family members dying from that enemy as well as leaving the country being destroyed?  If a Good Samaritan arrived at the site where robberies were still at the scene beating and stealing the Jew, what would he have done?  In regards to these issues, unlike pacifists, who still believe that they should not do anything, but many turned to Just War theory standpoint by accepting an inevitability (or, reality) of war.  In this respect, Thomas Aquinas said, “war principally not as a means to defend one’s self, but as a sacrifice one makes for others[3].”  In the same manner, Martin Luther in the sixteenth century pointed out the unavoidability of war in this way: “What men write about war, saying that it is a great plague, is all true. But they should also consider how great the plague is that war prevents.[4]  He also added that “Christians do not fight for themselves, but for their neighbor. So if they see that there is a lack of hangmen, constables, judges, lords or princes, and find they are qualified they should offer their services and assume these positions.[5]
Likewise, compared to pacifism that seemed to be unrealistic in terms of lack of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s well as not applicable to protect a bigger humanity, Just War theory was more relevant to the real world by reflecting the human nature.  In other words, Just War theory is more likely a humane, or human-oriented perspective so to speak.  However, even though Just War theory has been ruled over human ideologies since the fourth century to use of war as a last resort for both Jus ad bellum (Justice in going to war) and Jus in bello (Justice in the conduct of war), but it is so true that this theory has many limitations just as much as pacifism – or, even more. 
First of all, Just War theory attacked pacifism for its lack of understanding of human incapability. (cf. Reinhold Niebuhr)  But this challenge is self-contradictory since Just War theory also lacks understanding of the human inability.  Simply put, Just War theory never had been applied to a real situation.  The purpose of war (right intention), for instance, as Luther puts it, “has to do with a work of love for other neighbors[6].”  David Baer and Joseph Capizzi maintained that “the intention for going to war be so understood is an expression of love for the enemy just to the extent that the lasting order be one that encompasses the interests of the enemy.[7] But let’s look at the reality.  Think about wars happened in human history.  We do not need to go too far but think about wars and conflicts occurred within ten years – to name a few: Iraq War (2003- ), Shia insurgency in Yemen (2004- ), Civil war in Chad (2005–2010), Lebanon War (2006), War in Somalia (2006–2009), Gaza War (2008- ), Libyan civil war (2011- ), and so forth.  Did any of these wars and conflicts applied right intention (love for their neighbors) to initiate the war?  I doubt it.  Who would think that the United States started a war in both Afghanistan and Iraq for the love of neighbors or for their benefits per se?  Foreign policy of each government has always operated by the national interest.  “The first and most vital task of government is the security of the nation.[8] Apparently, in reality, practicing a foreign policy, including waging a war, had nothing to do with a universal welfare or, interest of others (loveing neighbors).  In this perspective, Stanley Hauerwas refuted Just War theory by saying, “the idealism of such "realist" justifications of just war is nowhere better seen than in these attempts to fit just war considerations into the realist presuppositions that shape the behavior of state actors.[9] Moreover, there was a slippery slope problem in regards to the work of prevention of war.  Since national defense has been not only a key responsibility but also just cause, it was by no means clear how much and when a government should use of violence against other powers such as preemptive attacks.  Too early, too late, too much, or too short will always bring about a problem morally and realistically. 
This ambiguity, however, caused a bigger problem that people may and actually used Just War theory as a foundation to justify their warfare.  Iraq war, for example, according to Stanley Hauerwas, did not meet the Just War category.  Hauerwas presented three reasons what made it possible for the United States conduct the second war against Iraq:  “First of all, America had a military leftover from the Cold War, which was a war that was fought according to an amoral realism.  In addition to that, America could go to war in Iraq because nothing prevented America from going to war in Iraq.  Finally, the war was justified as part of a war against terrorism.[10]  However, Hauerwas rebutted that it is unclear to fight a just war against terrorism.  It was because a just war supposed to have an end but war on terrorism, apparently, has no end.  Another reason he argued why the Iraq war was not a just was relevant to the Civil War.  Hauerwas asserted that “Americans are a people born of and in war - particularly, the Civil War - and only war can sustain our belief that we are a people set apart.[11] And he quoted Harry Stout who explained “the Civil War began as a limited war but ended as total war[12]” which led Americans to pursue even more devastating total wars in the twentieth century.  “They thought they must go to war to insure that those who died in our past wars did not die in vain. Thus American wars are justified as a "war to end all wars" or "to make the world safe for democracy" or for "unconditional surrender" or "freedom"[13].”  This implies that many wars during and after the twentieth century Americans waged were not really based on Just War theory but was a product of a national heritage transcended from the founding fathers: “A free people ought to be armed” said George Washingto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Just War theory is de facto irrelevant to reality.  Although it sounds more plausible and applicable compared to pacifism but there is no virtual difference – it failed to narrow the gap between realism and idealism.  Rather, Hauerwas insisted that “attempts to justify wars begun and fought on realist grounds in the name of just war only serve to hide the reality of war.[14]  Pointing out limitations of Just War theory, Hauerwas, indeed, finalized his argument by addressing that pacifists are “real” realist.  Despite accepting the “realism” associated with Augustine, Luther, and Niebuhr whom has taught us about how the world works, but Hauerwas realized the “real” realism does not remain in this world but in Jesus Christ. 
The way of life and thought of Jesus Christ was, literally, anti-human nature, or unrealistic from the worldly view.  Unless people experience a fundamental paradigm shift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which enables us to see the Kingdom of God in this world, it is impossible to neither understand nor accept and follow the way of Jesus.  “Jesus gave us a new way to deal with offenders – by forgiving them.  He gave us a new way to deal with violence – by suffering.  He gave us a new way to deal with money – by sharing it.  He gave us a new way to deal with problems of leadership – by drawing on the gift of every member, even the most humble.  He gave us a new way to deal with a corrupt society – by building a new order, not making the old.  He gave us a new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between parent and child, between master and slave, in which was made concrete a radical new vision of what it means to be a human person.  He gave us a new attitude toward the state and toward the enemy nation.[15]  John 18.28-38 clearly revealed “how Jesus's kingdom is not like other kingdoms of this world, but rather his kingdom is one that is an alternative to the kingdoms of this world.[16]  When Pilate asked Jesus, “Are you the King of the Jews?” (v33) Jesus answered, “My kingdom is not from this world.” (v36a)  Again, Pilate asked Jesus, “So you are a king?” (v37a) and Jesus replied, “You say that I am a king. For this I was born, and for this I came into the world, to testify to the truth. Everyone who belongs to the truth listens to my voice.” (v37b)  Finally, Pilate questioned Jesus, “What is truth?” (v38)  We could find this answer from John 14.6, “I am the way, and the truth, and the life.  No one comes to the Father except through me.”  Jesus Christ is the “real” reality who called his followers to be the part of his body and blood (Church).  That is, we, as a church body, are the “real” realism that needs to be an alternative of “faked” realisms in this world that has nothing to do with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reality and ideality.  Unless we realize the “real” reality we are not be able to reach to the idealism.  “When Christians lose that reality, that is, the reality of the church as an alternative to the world's reality, we abandon the world to the unreality of war.[17]  The Church is the hope in this world.

Bibliography
1.      Stanley Hauerwas. “War and the American Difference” MI. Baker Academic. 2011.
2.      Stephen L. Carter. “The Violence of Peace” NY. Beast Books. 2011.
3.      Stanley Hauerwas. (April 2012) “What's love got to do with it? The politics of the cross.” ABC RELIGION AND ETHIC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http://www.abc.net.au/religion/articles/2012/04/05/3471386.htm]
4.      Trevor Sather. Editor. “Pros and Cons” (18th ed.). Routledge. NY. 1999. p29-30.
5.      Sangryuel Kwon. “Moral Theological Study on Just War Theory”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2004.
6.      Sangjin Kim. “Just War Theory and Humanitarian Intervene” (M.Div Thesis). Methodist Graduate School. Seoul. 2008.
7.      Lecture note.
8.      NRSV Bible.




[1] Stephen L. Carter. “The Violence of Peace” NY. Beast Books. 2011. p13
[2] Stanley Hauerwas. “War and the American Difference” MI. Baker Academic. 2011. p23
[3] Stephen L. Carter. “The Violence of Peace” NY. Beast Books. 2011. p160
[4] Ibid. p22
[5] Stanley Hauerwas. “War and the American Difference” MI. Baker Academic. 2011. p23
[6] Ibid. 
[7] Ibid. p25
[8] Stephen L. Carter. “The Violence of Peace” NY. Beast Books. 2011. p7
[9] Stanley Hauerwas. “War and the American Difference” MI. Baker Academic. 2011. p25
[10] Ibid. p26
[11] Ibid. p27
[12] Ibid. p27
[13] Ibid. p32
[14] Ibid. p34
[15] Stanley Hauerwas. (April 2012) “What's love got to do with it? The politics of the cross.” ABC RELIGION AND ETHIC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http://www.abc.net.au/religion/articles/2012/04/05/3471386.htm] 
[16] Ibid.
[17] Stanley Hauerwas. “War and the American Difference” MI. Baker Academic. p34

[양승훈 칼럼] 두 근본주의의 충돌


성경 문자주의와 자연주의적 진화론의 문제
▲양승훈 교수.
금년은 현대 생물진화론의 방아쇠를 당겼던 다윈의 <종의 기원>이 출판된 지 15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인류 역사상 수많은 학설이 등장했다가 사라졌지만 진화론의 불길은 아직도 꺼지지 않고 있으며, 등장 이후 지금까지 여러 분야에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오랫동안 세계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근대주의도 20세기 후반을 지나면서 포스트 모더니즘에게 자리를 내주었고, 세계 인구의 1/3을 붉게 물들였던 공산주의 사상도 지금은 퇴조 상태이다. 영원할 것 같았던 실존주의 철학도 이제는 사람들의 의식 깊숙한 곳에 침잠하고 있다.

하지만 진화론은 등장한지 한 세기가 훨씬 더 지났지만 사라지기는커녕 점점 더 맹위를 떨치고 있다. 처음에는 생물학, 지질학, 천문학 등 몇몇 기초과학 분야에 국한되었던 진화론이었지만 근래에는 대부분의 학문 분야에까지, 나아가 매스컴이나 문화, 교육, 경제, 심지어 문학과 예술에 이르기까지 문화 전반에 걸쳐 폭넓게 확산되고 있다.
진화론의 가는 길에는 거침이 없다고나 할까.

하지만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는 것은 진화론만이 아니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반진화론 운동, 혹은 창조론 운동도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세기는 가히 창조론의 부흥기였다고 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1925년 스콥스 재판 이후 한동안 잠잠했지만 1970년대부터 다시 창조론과 관련된 사건들이 줄을 이었고, 특히 1980년대 미국에서는 진화론 관련 소송들이 봇물을 이루었다.

또한 20세기 중후반을 지나면서 미국을 비롯하여 영국, 호주, 한국, 캐나다, 독일,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수많은 창조론 단체들이 등장하였다. 이들 단체들은 대부분 기독교적 배경을 갖고 있지만 일부는 그렇지 않은 단체들도 있었다. 반진화론 단체 혹은 창조론 단체들이 증가하면서 창조론과 진화론의 논쟁은 20세기 후반의 문화적 현상으로 자리매김하기에 이르렀다.

근래 에 실린 브랜취(G. Branch)와 스콧(E. Scott)의 “창조론의 최근 얼굴”(The Latest Face of Creationism)도 진화론자의 입장에서 쓴 창조-진화 논쟁의 예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진화론자들의 모든 논리를 대변하지는 않지만 그러나 핵심적인 논점들을 포함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과연 창조-진화 논쟁의 핵심은 무엇이며, 특히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무지 결말이 나지 않는지 몇 가지 근본적인 이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창조과학적 창조론
우선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이유로는 진화론자들, 혹은 반창조론자들의 비판이 주로 기독교계의 소수 의견인 창조과학에 집중하고 있음을 들 수 있다. 과학적 창조론이라고도 불리는 창조과학은 안식교도 프라이스(G.M. Price)와 남침례교도 모리스(H.M. Morris) 등 주로 근본주의적 배경을 가진 성경 문자주의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창조과학이 가장 번성한 나라는 전반적으로 근본주의적이고 보수적인 미국 남부와 호주, 한국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창조과학자들은 성경의 문자적 해석을 받아들이면서 성경을 과학 교과서로 사용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들은 주류 과학계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과학적 사실들과 지구 역사, 우주론, 지질학, 생물학 분야에서 진화와 관련된 것들을 모두 부정한다. 그러다보니 때로는 증명된 과학적 사실들까지 부정하면서 독특한 자신들의 과학, 즉 창조과학을 제시한다.

창조과학에서는 6천년 지구/우주 연대를 주장하면서 고생대 캄브리아기로부터 신생대 제4기까지의 모든 지층이 1년 미만의 노아의 홍수를 통해 형성되었다는 홍수지질학(flood geology)을 믿는다. 이러한 주장은 6천년 지구/우주 연대 주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창조과학이라고 한다면 이 두 가지, 즉 6천년 지구/우주 연대와 홍수지질학을 의미한다고도 볼 수 있다. 이 두 주장은 불가분의 관계가 있어서 홍수지질학이 없으면 6천년 지구/우주 연대는 유지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창조과학에서는 지구나 우주의 절대 연대를 측정하는 대표적 연대 측정법인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측정법을 비롯하여 오랜 연대를 보여주는 모든 연대 측정법들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1960년대까지 이러한 창조과학이 주류 과학에 대한 대안 과학으로 제시된 것은 근본주의 교회 내부에 국한되었다. 또한 극소수 기독교 학교에서만이 홍수지질학을 기존 지질학을 대체하는 이론으로 소개하였다. 그러나 창조과학은 애초부터 주류 학계에 대한 도전이었다기보다 대중적 캠페인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그 이유는 창조과학자들 대부분이 자신들이 공식적으로 훈련 받은 분야와는 동떨어진 분야에서, 그것도 연구보다는 캠페인 중심의 운동을 펼쳐왔기 때문에 대중들을 상대로 설득하는 것 외에는 다른 도리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요약한다면 그 동안 진화론자들이 창조론의 대표인 듯이 비판해 온 창조과학은 성경을 과학 교과서로 보는 전투적이고도 선명성 있는 주장으로 인해, 그리고 대부분의 반진화론 혹은 창조론 교육을 위한 법정 투쟁과 연루됨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졌지만 기원과 관련하여 기독교를 대표하는 이론은 아니다. 특히 창조과학의 2대 기둥이라고 할 수 있는 6천년 지구/우주 역사와 홍수지질학은 복음주의권 내의 전문가들 사이에서조차 소수 의견에 불과하다.

진행적 창조론과 유신론적 진화론
실제로 성경에 대해 복음주의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대부분의 학자들은 6천년 지구/우주 연대와 홍수지질학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창세기의 역사성을 받아들이고 창세기 1-11장의 신적 영감성을 인정하는 학자들조차 지구/우주 역사를 6천년이라고 주장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창세기 6-8장에 나오는 노아의 홍수에 대해서는 사람들마다 의견이 다양하긴 하지만 대부분의 지층이 노아의 홍수로 형성되었다고 주장하는 홍수지질학을 지지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것은 비단 기원 논쟁과 직접 관련이 있는 지질학이나 생물학, 천문학 등의 전문가들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창세기를 전공하는 구약학자들, 그 중에서도 성경의 무오성을 받아들이는 복음주의 신학자들조차 대부분 창조과학적 창세기 해석에 반대한다.

오히려 복음주의 진영에서는 방사능 연대 등 주류 과학계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지구와 우주 연대를 수용한다. 노아의 홍수에 대해서는 사람들마다 이견이 있기는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캄브리아기로부터 신생대까지의 모든 지층과 화석이 1년 미만의 노아의 홍수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창조과학의 홍수지질학은 단호하게 반대한다. 이들은 성경은 창조주에 대해서, 창조의 목적과 이유에 대해서 말하지 창조의 방법이나 시기에 대해서 말하고 있지 않다고 본다. 창조의 방법이나 시기는 성경 연구에서가 아니라 과학 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한다고 믿는다.

사실 이러한 입장은 20세기 후반 창조과학의 부흥이 일어나기 전인 1950년대에 이미 등장했다. 복음주의 신학자이자 오늘날 북미주 최대의 복음주의 과학자 단체인 ASA(American Scientific Affiliation) 회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던 램(B. Ramm)은 1954년에 출간한 <과학과 성경에 관한 기독교적 견해>라는 책을 통해 근본주의 창조론 운동의 문제점을 예리하게 지적하면서 오늘날 진행적 창조론(Progressive creationism)으로 알려진 이론을 제안했다.

진행적 창조론에 의하면 태초에 창조주가 생명체들을 창조했으나 순간적인, 혹은 6천년 동안이 아니라 오랜 지구 역사에 걸쳐 창조했다고 본다. 이들은 소진화, 즉 종 내에서의 변이는 받아들이지만 대진화는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창조과학자들과 의견을 함께 한다. 하지만 이들이 대진화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성경 해석 때문이 아니라 유전학적, 고생물학적 이유 때문에 받아들이지 않는다.

진행적 창조론자들은 우주론에서도 창조과학자들처럼 “무에서 유의 창조”(Creatio ex nihilo)를 믿는다. 하지만 창조과학자들과는 달리 이들은 현대 우주론의 표준모델인 대폭발 이론의 기본 개념을 받아들인다. 대폭발 이론은 확정된 사실로서가 아니라 지금까지 과학자 공동체가 발견한 증거들을 가장 설득력 있게 제시한 작업가설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본다. 창조론자들이 대폭발 이론에 대해서 진화론자들과 입장을 달리하는 부분은 이 이론의 무신론적이고 자연주의적인 특성이다. 이런 대폭발 이론의 특성은 과학과는 무관한 일종의 세계관이요, 패러다임이기 때문이다.

복음주의 전문가들 그룹에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진행적 창조론을 이끄는 대표적인 사람을 든다면 천문학자 로스(Hugh Ross)를 들 수 있다. 그는 주류 과학계에서 제시하는 지구/우주 연대를 그대로 받아들이지만 생물학적 대진화는 부정한다. 또한 진행적 창조론을 지지하며, 특히 젊은 지구/우주에 대한 과학적 증거들에 대해 비판적이다. 하지만 진행적 창조론의 모태가 되었던 ASA는 근래에 들어 유신론적 진화론(Theistic evolution) 쪽으로 기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진행적 창조론을 복음주의 진영의 비교적 보수-중도적 입장이라고 한다면 유신론적 진화론은 복음주의 진영의 진보적 학자들이나 자유주의 진영의 학자들이 받아들이는 견해라고 할 수 있다. 진행적 창조론에서는 창조주가 생물종들의 발달 과정에서 특별한 창조능력으로 개입한다고 보는 데 비해 유신론적 진화론자들은 창조주가 자연선택에 개입하여 진화를 인도한다고 생각한다. 유신론적 진화론에서는 자연주의 진화론의 모든 매커니즘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신론적 진화론은 적어도 과학적인 측면에서는 진화론이 갖는 모든 문제들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진화론의 문제
그러면 진화론의 문제는 무엇인가? 진화론을 비판하는 창조론자들은 모두 아마추어이며 그들의 비판은 재고의 가치가 없는 이야기들일까? 그렇지 않다. 진행적 창조론자들은 물론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지적설계 운동가들이나 복음주의권 내에서 진화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다. 이들의 비판은 성경을 과학 교과서로 받아들이는, 공학도나 딜레탕트 중심의 창조과학 운동의 목소리와는 차원이 다르다. 그러면 창조론자들이 줄기차게 지적하는 진화론의 문제는 무엇인가? 몇 가지 예를 들어보자.

우선 화학진화론부터 생각해 보자. 필자는 진화론자들에게 ‘오파린-할데인 가설이나 이 가설에 기초한 밀러-유레이 실험, 그것을 이은 폭스 실험 따위가 정말 생명의 기원을 설명한다고 생각하는가?’ 라고 물어보고 싶다. 오파린-할데인 가설의 기초가 되었던 원시 대기에 대한 가설, 타르 비슷한 라세미 혼합물 정도를 만들어낸 밀러-유레이 실험이나 프로티노이드에서 미소구체(microsphere)를 만든 폭스 실험 따위는 생명의 기원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여느 화학 실험실에서 해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실험일 뿐이다. 다윈이 말한 “따뜻하고 작은 연못”(warm little pond) 따위는 순전히 상상의 산물일 뿐 실제 원시지구의 상태나 최초의 생명 출현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생명은 생명으로부터만 유래한다는 생명속생설은 성경에서 말하기 전에 과학에서 상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그 동안 창조론자들이 오랫동안 줄기차게 지적하고 있는 중간형태의 부재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과연 대진화의 증거를 화석으로부터 찾을 수 있는가? 적자(適者)의 자연선택, 혹은 돌연변이의 자연선택, 나아가 유전자 풀의 평형파괴(Punctuated Equilibria Theory)를 통해 대진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자연에서나 실험실에서 증명할 수 있는가? 진화론자들은 그 동안 고전적인 중간형태로 제시해 왔던 시조새, 말, 실라칸트 등의 화석에 대한 창조론자들의 비판에 대해 무조건 무시하기보다 성실하게 답변해야 한다.

현대 지질학의 기초가 되고 있는 동일과정설은 어떤가? 과연 지구의 역사를 현재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과정만으로 모두 설명할 수 있다고 보는가? 필자는 창조-진화 논쟁과는 무관하게 지구의 역사를 균일설 혹은 동일과정설로 해석하는 것보다는 격변의 역사, 다시 말해 수많은 격변들의 연속으로 지구의 역사를 해석하는 다중격변모델이 타당하다고 믿는다.

2008년 1월호 <천문학>(Astronomy) 잡지에 의하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179개의 운석공이 발견되었으며,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운석공인 듯이 보이는(probable) 곳이 111개에 이르고 있다(이들은 대부분 지구 표면의 30% 밖에 안 되는 육지에서만 발견된 것들이므로 실제 운석공의 숫자는 이보다는 세 배 이상 더 많다고 봐야 한다). 그 외에 운석공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하고 있는 충돌구조들(impact structures)만도 수백 개에 이르고 있다. 이들 중 한 대륙을 멸종시킬 수 있는 직경 30Km 이상 되는 운석공들만도 28개에 이르며, 전 지구적 멸종을 가져올 수 있는 직경 100Km 이상 되는 운석공도 5개나 된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멕시코 유카탄 반도의 칙술룹(Chicxulub)에서 발견된 직경 180Km에 이르는 대형 운석공이다.

물론 대규모 운석충돌만이 지구에서 일어난 수많은 격변들의 유일한 이유였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대규모 화산폭발이나 쓰나미, 지진, 산사태 등 대규모 운석 충돌에 이은 2차적 격변들이나 운석 충돌과 무관한 격변들도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근래 백악기 멸종의 주된 원인은 대규모 화산폭발이라는 새로운 주장이 제시되고 있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지난 30여 년 간 중생대를 마감하게 한 대격변, 흔히 K-T 경계멸종이라 부르는 대멸종은 6500만 년 전에 지구와 충돌한 칙술룹 소행성 때문이라는 이론이 지배적이었지만 근래 프린스톤 고생물학자 켈러(Gerta Keller) 등은 이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인도 데칸 지방에서 일어난 일련의 거대한 화산폭발이 K-T 경계멸종의 원인이었다는 새로운 주장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 의하면 대한민국 넓이의 20여배에 달하는 거대 용암 지역 데칸 트랩의 화산폭발의 주요 폭발 단계에서 화산이 분출한 기체는 거의 비슷한 시기에 칙술룹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면서 대기권 속으로 방출한 기후 변화 기체의 10배를 분출했다고 한다.

칙술럽 운석공이나 데칸 트랩 등은 지구 역사에서 일어난 격변의 일부 예들일 뿐이다. 이러한 격변의 흔적들이 지구 역사의 중요한 시대 변화와 연대가 일치한다면 우리는 이로부터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을까? 지구 역사에서 전 지구적 멸종을 일으킨 여러 차례의 격변이 일어난 것이 분명하다면 “현재는 과거의 열쇠”라는 동일과정설의 슬로건은 “현재는 과거의 부분적 열쇠일 뿐”이라고 고쳐야 할 것이다.

요약한다면 “학교에서 배우는 것은 모두 뻥이다”라고 주장하는 창조과학적 자세도 문제지만 “지구가 둥근 것이 사실이듯 진화는 사실이다”라는 식의 진화론자들의 극단적이고 이데올로기적 태도도 진리에 이르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양쪽 모두 인식의 대상으로부터 자신을 분리시켜(detach) 객관적이고 관조적 태도를 견지하려 했던 선인들의 테오리아(theoria) 이상과는 거리가 먼 태도들이다. ‘내 해석과 주장은 도무지 틀릴 수 없다’는 경직되고 폐쇄적인 태도는 진리를 추구하는 바른 자세가 아니다.

잠정적, 개방적 자세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할까?

첫째, 학문이라는 것 자체가 가치중립적일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이것은 지난 세기 새로운 과학철학자들이 발견한 중요한 쾌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원 논쟁과 같이 까마득한 과거에 일어난, 그래서 직접적인 실험이나 재현이 어렵고 대부분 간접적인 증거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해석자의 세계관이 간접적 증거들의 해석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해석이라고 하는 것은 유한한 인간이 미지의 대상을 인식하려고 할 때 불가피하게 부딪히는 문제이다. 사람이 전지전능해서 모든 것을 본질 그대로 알고, 모든 것을 자신의 의지대로 행할 수 있는 존재라면 굳이 해석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시간 내적 존재인 인간이 유한한 지식과 제한된 자료를 근거로 대상을 인식하려 할 때 해석이라고 하는 것은 일종의 존재론적 필요라고 할 수 있다. 창조-진화 논쟁은 본질적으로 인간의 유한함, 이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 사용하는 용어나 개념의 불확실함 등으로 인해 앞으로도 끝없이 계속될 것이다.

둘째,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기원 논쟁과 관련하여 잠정적, 개방적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창조-진화 논의는 학문적, 신앙적 논쟁을 가장한 이데올로기적 오염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분야이다. 학문적 논의에 관한 한 어느 누구도 진리의 “전매특허”를 가진 사람은 없으며, 학문적 논의에서 자신의 주장에 대한 경직된 태도를 갖게 되면 “학문적 마녀사냥”이 일어날 수 있다.

자연주의적 진화론이나 성경 문자주의는 둘 다 “종교적” 근본주의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학문적 유연성이 없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나는 성경을 해석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믿는다”라고 주장하는 것이나 “진화가 과학이 아니라면 과학은 없다”라는 식의 경직된 자세는 학문적 발전, 나아가 진리에 이르는 가장 큰 장애가 될 수 있다. 개방적 자세, 특히 자신의 주장과 반대되는, 혹은 자신의 주장을 비판하는 목소리에 대해 개방적 자세를 가질 때 오류의 가능성은 그만큼 줄어들 것이다.

셋째, 진화론자들은 진화론의 형이상학적(혹은 “종교적”) 신념을 솔직히 인정해야 한다. 창조론이 유신론적 전제를 깔고 있듯이 진화론은 무신론이요 모든 초월적인 요소를 배제하려는 자연주의적 신념을 배경에 깔고 있다. 헉슬리가 지적한 바와 같이 “다윈이즘은 이성적 대화 영역에서 생물의 창조주와 같은 하나님의 모든 개념을 제거했다. 다윈은 어떤 초자연적인 설계자도 필요하지 않음을 지적했다 ; 자연선택이 알려진 모든 생명체들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진화에서 초자연적인 존재를 위한 여지는 없다.” 이것은 결국 기원에 관한 모든 초월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남는 인간은 앙상한 단백질 덩어리로서의 물질뿐임을 지적하는 것이다.

어떠한 초자연적인 것도 인정하지 않는 자연주의적 진화론은 이데올로기의 요소를 고루 갖추고 있다. 진화론이 자연주의와 결합하면서 인간의 지식은 오로지 물질적이고 우주 내적인 지식에 국한되게 되었다. 진화론이 인간의 인식의 지평을 넓힐 것이라는 자연주의자들의 예상과는 달리 도리어 인간의 지식을 물질세계에만 제한시켰다. 우리는 인류 역사에서 경직되고 이데올로기화 한 기독교 신앙이 지식의 진보를 제한해 왔던 것처럼 진화론과 결합한 각종 이데올로기들이 지식의 지평을 크게 제한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결론적으로 기원 논쟁, 즉 창조-진화의 논쟁은 본질적으로 과학을 매개로 한 두 근본주의 세계관의 충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데올로기적 자연주의에 근거한 진화론이나 성경 문자주의에 근거한 창조과학은 둘 다 근본주의적,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갖고 있다. 그래서 서로로부터 배우려는 겸손한 자세, 잠정적이고도 개방적 태도를 갖기 보다는 귀를 막고 상대를 타도의 대상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므로 성경 문자주의자들은 성경의 용도를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하고, 자연주의 진화론자들은 인식의 지평을 넓히려는 열린 마음이 필요하다. 그래서 비생산적인 파열음보다는 건설적인 논쟁을 통한 지적 지평의 확대 혹은 진리의 포구에 이르기 위해 서로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양승훈 교수(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원장, www.view.edu)

하나님은 왜 태양보다 빛을 먼저 창조하셨을까(上)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
▲조덕영 박사
Ⅰ. 시작하며
빛은 과연 어떤 존재인가? 우리 인간은 이 세상의 빛과 함께 살아왔다. 빛은 인간과 생명과 우주에 존재의 의미를 부여하는 가장 근원적인 물질이다. 빛이 없다면 우리 인류의 모든 유산과 활동과 역사는 아무런 의미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성경이 이 빛에 대하여 어떻게 말하고 있는 가를 살펴보는 것은 신앙과 신학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신학은 일찍부터 성경의 빛을 주목하고 빛에 담긴 진실과 의미를 탐구하여 왔다. 또한 과학이 발달하면서 빛에 대한 개념은 단순한 성경적, 신앙적 해석을 넘어 그 자체의 물리적 신비에 깊이 접근하게 되었다.
본 논고는 그런 빛에 대한 신학적 의미를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경 창세기에 나타난 빛의 창조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 빛에 대해 주요 신학자들은 어떤 접근을 하였는지 간략히 검토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현대 과학의 연구 성과가 현대 기독교 신앙과 신학에 어떤 의미들을 부여하고 있는 지 살펴보고 종합적으로 빛에 대한 신학적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Ⅱ. 빛의 창조
성경은 빛(רוא, o-r)이 창조되었다고 말한다. 빛은 첫째 날 창조되었다(창 1:3-5). 빛이 있으라 하시매 빛이 있었고 그 날은 첫째 날이었다. 창조 명령은 6일에 걸쳐 8번 기록되었고 빛 창조는 그 가운데 첫 번째 명령이었다. 그리고 그 빛에 대한 가치 평가(4 상반절), 영역 지정(4 후반절), 의미 부여(5 상반절)를 한 것도 창조주 하나님 자신이었다. 최근 지적 설계 운동(Intelligent Design Movement)을 주도하고 있는 뎀스키(W. A. Dembski)도 빛이 창조되면서 세상은 개념화 될 수 있었고 가치가 적절히 부여되었으며 하나님의 의도가 충만한 장소일 뿐 아니라 그 의도가 이해 가능한 장소가 되었다고 지적한다. 뎀스키는 그 이해 가능성의 영역은 과학과 도덕과 미학에 모두 적용된다고 하였다. 우리는 태양을 빛의 근원이라고 여긴다. 태양은 물론 빛이다. 지구 빛의 근원이기도 하다. 창세기는 큰 광명과 작은 광명과 별들이 넷째 날 창조되었다고 말한다. 여기서 큰 광명과 작은 광명은 해와 달을 의미함에 틀림없다. 즉 성경은 지금 우리가 보는 이들 발광체(發光體)들이 있기 전 이미 빛이 창조되었다고 말한다. 태양이 있기 전 빛의 근원은 이미 창조된 것이다. 빛이 태양보다 먼저 나왔다는 성경의 기록은 어떤 다른 고대 문헌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오직 히브리인들만이 가진 계시였다.
플라톤(Platon, BC. 427-347)은 태양을 ‘최고의 선’(the Good)과 연관시키며 필로(Philo, BC. 20- AD. 50경)는 창조주를 빛의 원형(原型)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태초의 빛과 태양을 구분하지는 않았다. 이렇게 성경은 빛의 창조에서부터 다른 어떤 기원에 대한 설화와도 다른 뚜렷한 차별성을 보인다.
태양이 있기 전 창조된 빛이 과연 무엇인가 하는 문제는 어려운 난제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이 이미 첫째 날부터 있었다고 보고 다만 넷째 날 보여 지게 되었다는 해석이 있다. 즉 첫째 날 하늘과 땅들이라는 구절 속에 이미 태양과 달과 별들을 포함 시키고 있다는 견해이다. 하지만 성경은 분명 넷째 날 창조된 태양과 달보다 먼저 창조된 빛이 있음을 알리므로 사람들이 무의식 중에 빛의 근원은 당연히 해와 달 일 거라고 믿을 지도 모르는 편견과 선입관을 자연스럽게 차단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보다 타당한 해석이라고 본다. 헨리 모리스(H. M. Morris)는 태양이 있기 전 어떻게 빛이 있었느냐는 이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태양보다 먼저 존재한 빛의 근원이 궁창 위에 빛을 발하고 있었다고 보았다. 성경적으로 보면 첫째 날 분명 무언가 빛이 있었다. 그리고 그것이 태양은 아니었다는 것도 분명하다. 이것이 단지 히브리 민족의 관습적 해석이었는지 초월적 계시인지에 대해서는 성경을 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첫째 날 빛 창조에 대한 입장부터 신학의 관점과 색깔이 갈라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빛이라는 본질에 있어서는 태양빛이나 달빛이나 첫째 날의 빛이나 다르지 않다고 본다. 다만 빛(창 1:3)을 나타내는 히브리어(o-r)는 남성 단수 명사를 사용하고 있다. 히브리 사람들은 물도 우리와 달리 물들(םימ, maim)이라는 복수형을 사용하는 데 빛을 단수형으로 쓰고 있는 것은 주목해볼만한 특이점이다. 태양빛과 달빛, 별빛 등을 생각한다면 빛의 복수형을 사용했어야 마땅하다. 본래적 빛(단수형)이 먼저요 빛의 발생인들(복수형, ma-or)들이 순차적으로 따라 오는 것이 논리적, 성경적 질서일 것이다. 하나님은 첫째 날 빛의 단수형을 사용하시므로 빛 창조의 절대성을 나타내고 있다.
첫째 날 창조된 이 빛을 빛의 근원(a source of light)일 거라고 표현한 헨리 모리스는 이 빛은 넷째 날 태양이 창조되면서 두 빛이 본질적으로는 다를 게 없으므로 자연스럽게 태양빛으로 대체되었다고 본다. 물론 이것은 순전히 작업 가설(作業假說, working hypothesis) 같은 것이다. 이 태초의 빛(창 1:3)이 무엇이든 간에 과학적으로나 신학적으로 그 실체와 의미를 추적하기란 결코 쉬운 작업이 아니다. 그래서 칼빈(J. calvin)이나 헨리 모리스 같은 주석가들도 더 깊은 해석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이 빛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을 삼가하고 있다고 본다. 그 실체를 당연히 모르기 때문이다. 과학적으로도 이 빛의 실체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결론이 끝나지 않고 있다.
이 빛이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다. 이 빛은 온누리에 균등하게 광명을 제공하는 빛은 아니었다. 태양이 낮과 밤을 나누듯 하나님은 이 빛과 어두움을 나누었다. 첫째 날 저녁을 맞기도 전에 빛과 어두움, 밤과 낮은 이미 지구 표면에 동시에 나타났다. 달을 보며 사람들은 달 표면이 밝은 곳과 어두운 곳으로 나누어진다는 것에 익숙해 있다. 그러나 인류는 지구에도 그런 구분선이 있다는 것을 겨우 16세기(1542년 경) 코페르니쿠스에 의하여 과학적으로 인지(認知)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20세기 들어 우주비행사들은 이것을 친히 확인하였다.
Ⅲ. 빛에 대한 주요 신학자들의 이해
1. 어거스틴(Augustine, 354-430)
철학자들은 빛의 과학적 연구가 시작되기 이전부터 이미 빛의 인식론적, 존재론적 신비(빛의 형이상학, metaphysic of light)를 탐구하여 왔다(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위 디오니시우스, 동방신지학을 완성한 수라와르디를 비롯한 이슬람 신학자들, 베이컨, 칸트 등). 어거스틴도 그 가운데 한명이었다. 그는 본래 마니교도(摩尼敎徒) 였다. 마니교(Manichaeism)는 빛의 왕국이 사방으로 퍼져 어두움의 왕국에 이르렀다는 이원론적 종교였다. 이 때부터 이 지상에서는 선을 대표하는 빛과 악을 대표하는 어두움 사이에 끊임없이 싸움이 벌어지게 되었는데 이 싸움의 마지막에 비로소 한 예언자가 와서 어두움에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한 작업을 하기 시작한다고 보았다. 이 예언자가 바로 마니였다. 마니는 자칭 세 예수 가운데 성경의 예수 그리스도 다음으로 온 참 예수라고 자신을 지칭하였다. 이 종교는 '선은 빛이요 악은 그 그림자'라고 보는 조로아스터교(Zoroastrianism)를 많이 닮아있다. 마니교는 기독교와 불교, 조로아스터교가 복합된 종교였다.
하지만 회심 이전 숙명론적 마니교의 이원론에 익숙해있던 어거스틴은 회심 이후 완전히 달라졌다. 빛에 대한 어거스틴의 관심도 당연히 바뀌었다. 그의 창조론과 빛에 대한 관심은 성경의 창조론으로 돌아왔다. 어거스틴은 먼저 태양이 있기 전 밤과 낮이 있었다고 설명하는 창세기 1장 창조 기사의 첫 3일에 주목한다. 지구의 자전에 대한 정보가 없던 시절 이 문제에 대해 주목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어거스틴은 솔직하게 그 빛이 어떤 빛이었는지 어떤 운동으로 교차하여 어떤 성격의 아침과 저녁을 만들어 내었는지 인간의 지성으로 안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어거스틴은 이 빛을 물체적 빛을 넘어 거룩한 도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비약한다. 성경의 빛이 물리적 빛인 동시에 상징적 의미로 쓰여짐을 간파하고 성경 말씀의 다중적(多重的) 의미를 빛에도 적용한 것이다. 그래서 어거스틴은 자신의 책 「창세기의 문자적 의미」(De Genesi ad Litteram)에서도 빛에 대해 상세히 묘사하는데 첫째 날 만들어진 빛은 영적 창조의 형상이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이것은 어거스틴이 보기에 천사들의 집단이었다.
2.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5-74)
로마 카톨릭 신학을 완성한 신학자로서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있어 빛(lux)은 보게 만드는 것이요 드러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하였다. 하지만 토마스 아퀴나스는 영적 존재들에게 있어 빛은 먼저 은유적이며 고유적 의미는 그 다음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있어 첫 번째 날의 빛은 어거스틴처럼 물리적 실체가 아니었다. 아퀴나스가 볼 때 빛은 첫째 날 창조되었으나 그것은 또한 태양의 실제적 형상이나 자연적 형상이 아니었다. 빛이 물체가 아니라는 개념은 현대 과학의 눈으로 보면 분명 올바른 해석은 아니다. 빛이 열을 내므로 일종의 에너지라는 것은 아퀴나스도 알고 있었으나 빛의 실체적 현상들은 인식될 수 있는 것이지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물체라고 보지 않은 것이다. 하지만 광명의 장소로서의 ‘최고의 빛나는 하늘(coelum empyreum)'은 보시기에 좋게 창조되었다. 아퀴나스에게 있어 신앙과 이성은 갈등이 있을 수 없었다. 갈등이 있다면 그것은 인간의 이해 부족에서 발생한 오류 때문이라고 하였다.
3.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
창조주이심과 하나님이심은 루터에게 있어 동일한 의미였다. 하나님은 창조하신 분이요 유일한 창조주라는 점에서 하나님이다. 그러므로 그분은 전지전능하시고 우리의 구주이시기도 하다. 하나님은 이렇게 무(無)에서 모든 유(有)를 창조(Creatio Ex Nihilo)하신 분이다. 따라서 빛도 당연히 하나님이 창조하셨다. 하나님은 빛을 포함한 모든 것을 창조하였을 뿐 아니라 보존한다. 루터에게 있어 창조는 완결된 행위가 아니라 현재적 실재요 지속적인 사건이었다. 하나님은 지속적 관심을 가지고 세상에 관여하시는 분이다. 하나님의 창조 행위는 창세기 1장에서 그친 게 아니라 계속하여 세상에 머물러 있다. 빛은 그 창조의 섭리와 보존의 중심이다.
하지만 루터의 관심은 창조주로서의 하나님에 머물지 않는다. 루터의 신학은 십자가 안에서 더욱 미래로 나아간다. 루터에게는 창조의 빛도 단순한 빛이 아니었다. 빛은 십자가 안에서 물리적 빛 이상이었다. 창세기 1장 이후 빛의 성경적 의미는 물리적 빛의 의미를 너머 다중적 의미를 지니기 시작한다. 본래 고대 히브리 사람들은 자연의 빛과 초자연적 빛 자체를 구분하지 않았다. 그런 의미에서 루터는 빛을 천사라고 하는 알레고리로 해석한 어거스틴의 견해를 받아들인다. 이것을 루터가 빛의 물리적 성질을 무시했다는 식으로 단순히 해석하여 오해하면 안 된다. 현세의 빛은 마지막 날 이루어질 빛에 비하면 겨우 그림자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우리 인간은 빛의 창조주로서 영원한 빛이요 영광의 빛이요 빛의 빛이신 주님을 앙망한다. 인간은 죽음의 절망 가운데 사는 게 아니라 오히려 죽음 이후에 이루어지는 소망 가운데 산다. 성경은 그것을 빛의 비유로 설명한다. 이렇게 루터는 빛의 물리적 성격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십자가로 나타나는 미래의 영원한 빛을 주목한다. 즉 달빛이 햇빛 같아질 때가 올 것이다(사 30:26). 이것이 신학의 풍성함이요 루터 신학의 묘미이기도 하다.
4. 존 칼빈(John Calvin, 1509-1564)
종교개혁 신학자 칼빈 신학의 해석학적 중심은 간결함과 용이함(brevitas et facilitas)에 있다. 칼빈은 창세기 주석의 빛 해석에 있어서도 이 같은 자신의 해석학적 특성을 간결하고 용이하게 그대로 보여준다. 칼빈은 창세기에 언급된 대로 빛은 마땅히 맨 처음에 창조되어야 했다고 믿었다. 그것을 방편삼아 세상은 아름답게 장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피조물의 구별은 빛으로부터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칼빈은 성경 그대로 해와 달보다 먼저 빛이 창조되었음을 인정한다. 모든 도구들은 하나님의 도구이다. 사람들은 보이는 물체인 태양과 달과 별빛에 매달린다. 하지만 개혁주의자 칼빈이 볼 때 해와 달이 없어도 하나님은 우주를 붙드실 수 있는 분이다. 창조주 하나님은 인간과 달리 당연히 태양과 달에 매달리는 분이 아닌 것이다. 오히려 모든 피조물이 창조주의 뜻에 복종한다. 칼빈은 첫째 날 창조된 빛은 흩어져 없어졌으나 지금은 그 빛이 빛나는 물체들 속에서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고 묘사하여 첫째 날 창조된 빛과 넷째 날 창조된 빛 사이의 해석적 조화를 시도한다.
칼빈이 활동한 시대는 근대 과학이 꿈틀대던 시대였다. 하지만 과학의 성과들은 여전히 가변적이었다. 칼빈은 성경적 범위를 벗어나는 과학적 언급에 대해서는 삼간다. 빛과 어둠이 어떻게 낮과 밤을 점유하고 있는 지에 대한 세부적 설명은 칼빈 당시에 꼭 알 수도 없었을 뿐 아니라 알 필요도 없었다. 칼빈은 이 부분의 해석에 대해서는 미결의 문제로 남겨 두었다. 검증되지 않은 불필요한 성경 밖 주장들을 함부로 성경에 적용하지 않으려는 칼빈의 성경 자증 원리(Scriptura sui ipsius interpres)가 여기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5.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
바르트는 빛의 창조를 언약의 외적 근거로서의 창조의 측면에서 다룬다. 바르트에게 있어 창조는 언약의 외적 증거(Creation as the External Basis of the Covenant)인 동시에 언약은 창조의 내적 근거이다. 하나님은 말씀하심으로써 빛을 창조하였다. 창조주의 인격적 본질은 첫째 날부터 드러난다. 피조물은 하나님으로부터 유출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이 말씀하심으로 주인의 명령에 존재하게 되었다. 바르트에게 빛은 생명을 뜻하며 하나님의 사역의 표징(sign)이며 은혜의 상징이기도 하다. 바르트는 칼빈이나 다른 주석가들처럼 빛이 첫째 날 창조되었음을 언급한다. 하지만 바르트는 자연으로서의 빛이 아니라 언약에 매달린다. 이것들은 지구라는 언약의 동산에 주어지는 필수불가결한 언약의 파트너이다. 바르트도 창조는 실제로 일어났음을 믿었다. 다만 바르트에게 있어 창세기의 창조 사건들은 다른 사건들과 달리 피조계의 맥락에서 일어난 것이 아니다. 바르트가 보기에 창조는 다른 사건들처럼 기록될 수도 연구될 수도 없는 것들이다. 따라서 바르트는 인간 역사와 자연역사보다 앞서 일어난 창조는 ‘사가(saga)'라고 불려지는 것이 맞다고 제안한다. 이것은 시간과 공간 안에서 실제로 발생한 전(前)역사적(Urgeschichte, Pre-historical) 실재에 대한 직관적이고도 시적인 기술이다.
칼 바르트가 자연신학을 적극적으로 반대한 요점이 여기서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어거스틴과 칼빈과 바르트가 자연신학을 부정한 것은 같았으나 어거스틴과 칼빈이 자연계시에 대해서는 작은 불빛처럼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반면 카르트는 창조를 언약의 외적 근거로 보므로써 자연신학과 더불어 자연 계시의 효용성조차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바르트는 토마스 아퀴나스로 대별되는 로마 카톨릭의 자연신학과 자연 계시와 자연 은총에 긍정적인 에밀 부룬너와 완전히 결별하였다.
Ⅳ. 빛의 연구에 대한 간략사(簡略史)
빛을 인간의 시각에서 과학적으로 보면 ‘눈의 망막을 자극하여 시각을 생기게 하는 전자기파로 빛 또는 가시광’이라 부른다. 파장은 대략 400-750nm의 범위에 있어 빨강에서부터 보라까지 색감을 일으키게 한다. 하지만 감마선에서 전파까지의 전자기파(파장 10-14~155m) 전체로 보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빛이라 부르는 물질은 극히 좁은 범위를 차지한다. 자외선(1~400nm), 적외선(750nm~1mm)도 넓은 의미에서 빛이라 부르기도 한다.
빛에 대한 연구는 고대 헬라의 철학자인 아르키메데스와 유클리드 등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그러나 빛의 과학적 성격이 알려진 것은 17세기 무렵이었다. 영국의 뉴턴(I. Newton, 1642-1727)은 빛이 일직선으로 나아가는 입자(粒子)라고 설명했다. 이것이 빛의 입자설이다. 같은 시대 네덜란드의 크리스티안 호이겐스(Christiaan Huygens, 1629-1695)는 빛의 반사와 굴절을 확인하고 빛은 파동(波動)이라고 설명하였다. 파동은 반사와 굴절을 설명하는 데는 유용하나 빛의 직진성을 설명하는 데는 난관이 따른다. 19세기 들어와 교회의 장로였던 천재 과학자 맥스웰(James Clerk Maxwell, 1831-1879)은 전자파와 빛의 속도가 같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전자파도 일종의 빛이라는 것을 증명한 중요한 성과였다.
20세기 초 드디어 양자 역학이 성립되면서 빛은 전자파의 일종이며 입자와 파동이라는 이중 성질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빛이 직진한다는 것도 밝혀졌다. 1676년 덴마크의 뢰머는 목성과 그 위성의 회전주기(回傳週期)를 이용하여 빛의 속도를 알아내었다. 그는 빛의 속도가 1초에 약 30만 km라고 하였다. 거의 정확한 측정이었다. 그 후 여러 과학자들의 수고와 연구(표 1 참조)로 오늘날 빛은 직진성과 파동, 반사, 굴절, 회절, 산란, 분산, 스펙트럼, 색깔 등 아주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이 알려졌고 정밀한 빛의 속도도 측정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21세기 들어서도 빛의 본질적 신비는 과학계 안에서도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계속>
* 이 글은 조덕영 박사의 ‘창조신학연구소’ 홈페이지(www.kictnet.net)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조덕영 박사는
환경화학 공학과 조직신학을 전공한 공학도이자 신학자다. 한국창조과학회 대표간사 겸 창조지 편집인으로 활동했고 지금은 여러 신학교에서 창조론을 강의하고 있는 창조론 전문가이기도 하다. 그가 소장으로 있는 ‘창조신학연구소’는 창조론과 관련된 방대한 자료들로 구성돼 목회자 및 학자들에게 지식의 보고 역할을 하고 있다. ‘기독교와 과학’ 등 20여 권의 역저서가 있으며, 다방면의 창조론 이슈들을 다루는 ‘창조론 오픈포럼’을 주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