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10쌍 중 1쌍 따로 산다


2010년 115만가구…갈수록 급증
직장·학교탓 이산가족생활 14%

가족들이 뿔뿔이 흩어지고 있다. 좀더 배우고 좀더 벌기 위해서다.
17일 통계청의 ‘2010년 타지 거주 가족이 있는 가구의 현황과 특성’ 자료를 보면, 가족 구성원 가운데 일부가 외지에 살고 있는 가구가 245만1000가구로 전체의 14.1%를 차지했다. 7가구 가운데 1가구꼴로 가족끼리 떨어져 따로 살고 있다는 뜻이다.
그 이유로는 ‘직장’(51.3%)이 가장 많았고, ‘학업’(35.0%)이 뒤를 이었다. 타지 거주 가족을 둔 가구주의 나이는 50대가 41.7%로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 27%, 60대 13.6% 차례였다.
또 우리나라 부부 10쌍 가운데 1쌍은 따로 사는 ‘기러기 부부’인 것으로 집계됐다. 가구주의 혼인상태가 ‘배우자 있음’임에도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지 않은 가구가 115만가구나 됐다. 이는 가구주가 기혼자인 가구(1039만7000가구)의 10%에 이르는 수치다.
이처럼 배우자가 따로 떨어져 사는 비동거 부부는 2000년 5.9%(63만3000가구)에서 2005년 7.5%(83만5000가구), 2010년 10%(115만 가구)로 급증하는 추세다. 함께 살지 않는 부부는 50대(11.4%)에서 가장 많았고 40대(11.3%)와 30대(8.4%)가 뒤를 이었다.
함께 살지 않는 부부의 비율은 강원(12.7%), 광주(11.7%), 대전(11.5%)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시·군·구 기준으로는 인천 옹진군(22.2%), 경북 울릉군(18.5%), 충남 당진군(15.7%) 차례로 비동거 부부 비율이 높았다. 옹진군은 어업 종사자 등 일 때문에 가족과 떨어져 사는 40~50대 남성이 많았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권은중 기자 details@hani.co.kr

여가부…이럴거면 셧다운제 왜했나? 셧다운제로 청소년 게임 감소 고작 0.3%


셧다운제로 청소년의 게임 이용시간이 줄어드는 효과는커녕 명의도용 같은 부작용만 늘렸다. 이 제도를 도입한 여성가족부의 조사 결과다. 실효성 없는 정책임을 주무부처 스스로 밝힌 셈이다.
셧다운제 이용 시간대 변화 추이 (출처: 청소년 인터넷게임 건전이용제도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셧다운제 이용 시간대 변화 추이 (출처: 청소년 인터넷게임 건전이용제도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전병헌 민주통합당 의원은 `청소년 인터넷게임 건전이용제도(셧다운)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내용을 공개했다. 보고서는 여성부가 셧다운제도 시행 평가를 위해 600여명의 청소년을 조사해 만들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강제적 셧다운제 시행 이후 밤 12시 이후 청소년 게임이용은 불과 0.3% 감소했다. 보고서는 심야 시간에 게임을 하는 청소년의 수가 적기 때문에 제도 시행으로 거둔 효과로 보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전 의원은 “여성부 조사로 셧다운제 시행 전부터 심야시간에 청소년 게임이용이 극히 미미했고, 실효성이 없는 제도라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아이들에게 게임하기 위해 명의도용이 필요하다는 잘못된 인식만 심어줬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셧다운제가 청소년의 직업 선택의 자유 등 부작용만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중학생 프로게이머가 셧다운제로 인해 국제 대회 예선에 탈락할 수밖에 없었던 사건을 예로 들었다. 국내 회사의 `역차별` 조장문제도 있다. `문명5`의 경우 NHN은 심야에 서비스할 수 없지만, 해외에 서버를 둔 미국 기업 스팀은 24시간 이용 가능하다.

전 의원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시행하는 선택적 셧다운제도 실효성을 거두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제도 시행 이후 8434명만 신청했다. 약 500만명에 이르는 청소년 수를 고려하면 0.17%를 밑도는 극히 적은 수치다.

청소년은 보고서에서 게임중독 예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을 `게임 외 청소년을 위한 활동 마련`(29%)과 `게임이용시간 규제(21.6%)`라고 답했다. `심야에 게임 하지 않기`는 0.5%에 불과했다.

전 의원은 “강제적 셧다운제와 선택적 셧다운제 모두 게임 산업을 망치는 심각한 이중규제”라며 “여성부와 문화부는 동일서비스에 대한 이중규제를 하고 있는 상황을 조속히 해소함과 동시에 진정 청소년 보호 정책인지 함께 연구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

Cruciform Magic Eye


A Cruciform Magic Eye

2042970040_4a3a8ee371_z
In this post I’d like to share the story of how I came upon the thesis I’m defending in the book I’ve been working on for the last four years entitled The Crucifixion of the Warrior God: A Cruciform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s Violent Divine Portraits. It’s a much longer post than usual, but if you’re one of the many Christians today who are deeply troubled by the violent portraits of God in the Old Testament, I believe you’ll find it worth the time spent.
Jesus, the One Word. To begin, in my previous post I called attention to the fact that Jesus is the Word of God (Jn 1:1). He is not one of the words of God. He is rather the only Word to which all other words of God point. This is confirmed by Jesus himself when he tells the religious leaders of his day that all Scripture bears witness to him and that he is the “life” of Scripture (which is why the religious leaders erred in thinking they could find life by studying Scripture without going further and embracing Christ) (Jn 5:39-40). And it’s also confirmed when the resurrected Jesus revealed that the law and prophets spoke not only of him, but of his sufferings and coming glory (Lk 24:25-27).
My point in reviewing this is to argue that Jesus must never be regarded as one Word among others. He is the Word to which all other inspired words point. And whatever else we take this to mean, it implies that the revelation of God in Christ, thematically centered on the cross, must never be compromised by anything else we find in Scripture. This, unfortunately, is precisely what most Christians throughout history have done, and what most Christian to this day continue to do. We take portraits of God commanding genocide, sending the flood, slaughtering cities, etc., and place them alongside of the cross, and then say, “All of this reveals God.”
Small wonder that so many have messed up mental pictures of God that they have trouble surrendering their lives to.
The Typical Two-Fold Strategy. To smooth over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cross and (say) the portraits of God commanding his people to slaughter every man, woman, infant and animal in Canaan, apologists typically engage in a two-fold strategy. First, they try to pull Christ in the direction of the OT’s violent portraits. Then they try to pull the violent portraits in the direction of Christ.  The first strategy is typically carried out by appealing to Jesus’ cleansing of the Temple and especially by appealing to the Book of Revelation as a way of arguing that Jesus is one and the same as the God who commanded genocide and engaged in other violent acts. And the second is typically carried out by appealing to a multitude of considerations that make the violent portraits seem more Christ-like by stressing how the divine violence was justified and/or that it wasn’t as brutal as it on the surface appears to be. The best recent example of this is Paul Copan’s book, Is God a Moral Monster? (Baker, 2010).
Since I’ve always been disturbed by the OT’s violent portraits, I’d been collecting the best material that followed this two-fold strategy for over twenty years. And about four years ago I felt the need to take yet another break from a decades-long project I’ve been intermittently working on (called The Myth of the Blueprint) in order to finally resolve my own view and write a book on this topic.
My Initial Project. By this time, however, I had already become convinced that Jesus’ revelation of God as well as his kingdom ethic was thoroughly non-violent, so I abandoned all hope of pulling Jesus in the direction of the OT’s violent portraits. Among other things, the Temple cleansing was not an angry outburst, as some depict it, but a calculated symbolic act whereby Jesus fulfilled a messianic prophecy, exposed the sin of the Temple system, and forced the hand of leaders to arrest and crucify him, as was planned.  More importantly, while Jesus’ actions were aggressive, there’s not a shred of evidence it involved violence, either to humans or to animals. Yes John mentions that Jesus formed a make-shift whip, but he also tells us what he used it for: he “drove all from the temple courts, both sheep and cattle…” (Jn 2:15). Cracking a whip on the ground has always been the primary way of controlling animals, and Jesus used it to create a stampede.
As for the Jesus of the book of Revelation, I became convinced about six years ago  – and I’m even more convinced today – by the increasing wealth of scholarship that demonstrates that John appropriates violent symbols from the OT and from the violent apocalyptic literature of his day in order to subvert it. So, for example, Jesus is depicted as the mighty lion of Judah, but John immediately identifies him as, and later depicts him fighting as, a little slaughtered lamb (Rev 5:5-14).  So too, John depicts Jesus slaying people with a sword, but it’s the sword of truth that comes out of his mouth, and it destroys lies (Rev 1: 16; 2:12, 16; 19:21; 19:15, 21). And in what looks like the most violent chapter of this book, and possibly of the whole Bible – Revelations 19 – John depicts Jesus using the standard imagery of a mighty warrior is drenched in the blood of the enemies he’s slain (Jn 19:13). Except in the case of Jesus, John depicts him as soaked in blood before he ever goes into battle, because as John reiterates throughout this book, the way this warrior fights is not by shedding the blood of others, but by allowing his own blood to be shed.
In any event, I have been persuaded by this growing list of scholars that Revelation is a violently anti-violent war scroll. That is, it encourages followers of the lamb to wage aggressive war against the principalities and powers as well as against the surrounding culture of Babylon (= all governmental systems under Satan’s reign, which means, all governmental systems). But they are to wage this aggressive war by following the example of Jesus and choosing to die rather than kill. Jesus’ warriors “follow the lamb wherever he goes” (Rev. 14:14) and overcome by “the blood of the lamb and the word of their testimony” (Rev. 12:11)). (I’ve included a sample reading list for those interested in pursuing this further.)
The REAL Problem. I had thus already abandoned the first strategy when I set out to write this book, but I yet held out hope for the second. As one who affirms that the OT is divinely inspired, what other option did I have? But as I pulled together all the violent portrayals of God in the OT (it’s quite overwhelming when viewed in a single glance), and as I began to work on the best formulations of the best arguments I’d found over the years defending these violent portraits, it didn’t take long before I despaired of this strategy as well. I found myself disbelieving the arguments even as I was writing them out! For I had begun to realize that, even if I succeed in making these horrific pictures look somewhat less heinous than they appear, and even if I were to succeed in showing the violence was justified – in fact, even if I succeeded in showing that they are somehow compatible with the revelation of God in Christ –I still wouldn’t have succeeded in doing what needs to be done.
What needs to be done is to show how the violent divine portraits “testifies to” Jesus – the Jesus whose identity and mission is summed up on the cross. Our task, in other words, is to show how the portrait of God commanding his people to “show no mercy” as they slaughter women and children, along with every other brutally violent portrait of God, actually points tothe God who gave his life for his enemies on the cross, praying for their forgiveness with his last breath. Our task is to show how the crucified Christ is the Word that is spoken by these words – viz. the words that depict God commanding genocide!
A Different Way of Looking. I scratched the entire project. A radical reframe was needed. If there is any hope of demonstrating how the images of God as a warrior point to the crucified Christ, I came to see, I must find a way of discerning the crucified Christ in the violent warrior portraits, not in trying to formulate a relationship between the crucified Christ and these violent warrior portraits.  And no sooner had I posed the problem this way when its solution suddenly appeared before me like a divine revelation (like a revelation – I’m not claiming this is a divine revelation!)
It felt a bit like viewing one of the “Magic Eye” pictures that look like a boring page of wallpaper patterns until you look at them in a particular way. When you don’t look at the patterns, but through the patterns, a 3D image that you couldn’t see before suddenly appears. So long as you look for the image as though it was on the same plain as the patterns, existing alongside of, or in competition with, the patterns, you won’t see it. Only when you look through them and into a dimension behind the patterns does the entirely different reality of the 3D image appear.
This is quite analogous to what happened with me. I stopped looking along side of the violent portraits to find ways of justifying them, and stopped looking for a relationship between these portraits and the cross, as though they were on the same plane Instead, trusting on the authority of Christ that these violent portraits must somehow bear witness to the cross, I looked through them with the eyes of faith to discern the cross in the dimension behind them, as it were. Or to put it another way, believing that the God who “breathed” his full self-disclosure on Calvary was the one and same God who “breathed” these portraits (2 Tim 3:16), I looked for the God who is Calvary-like love behind these portraits.
The Magic-Eye Cross Appears. And then it appeared! I could see, at first in brief glimpses, but over time as a substantial reality, the crucified God in the depth dimension of the genocidal God. The God who bore our sin and God-forsaken judgment had always been bearing the sin and God-forsaken place of his people. The God who reflected the grotesqueness of our sin back toward us by taking on the guilty, God-forsaken semblance in the process of revealing himself, had always been reflecting the grotesqueness of his people’s sin by taking on a guilty, God-forsaken semblance in the process of revealing himself.
So too, the God who fully revealed himself not only by acting toward them, but also by allowing people and evil spirit agents to impact him with their sin, had always been revealing himself not only by acting toward people, but also by allowing people to impact him with their sin. And just as all that is beautiful in the cross reflects God’s true character while all that is ugly reflects the character of those he is trying to bring into a covenant relationship, so too all that is beautiful in any OT divine portrait reflects God’s true character while all that is ugly reflects the character of those he is trying to bring into a covenant relationship.
God only became a human and suffered to atone for the sin of the world once, in the crucifixion of Christ. But the fact that this single event reveals what God is truly like means it reflects what God has always been like. And when we fully embrace this and refuse to let it be compromised by granting authority to the horrifically violent warrior images, we are in a position to discern the crucified God in the portraits of the warrior God, and see in the crucified God the crucifixion of the warrior God.
There are, of course, a million other things to be said about this. My book is presently around 600 pages and looks like it may climb upwards to 700 before it’s complete. I’ll simply add that one of the most interesting and surprising things I’ve found – and it alone accounts for about 200 pages  – concerns the way one can discern confirmations of this cruciform perspective in the very narratives containing these violent divine portraits as well as throughout the broader canon. This really blew me away!
At any rate,  I hope to have my work completed within the next six months, which would mean it would be released around a year and a half from now. Also, I’ve devoted a chapter of my upcoming book, Benefit of the Doubt, to a brief look at the cruciform hermeneutic contained in Crucifixion of the Warrior God. This book is scheduled to be released in the Spring of 2013.
Til then, try the cruciform magic eye way of looking at these portraits. See if something doesn’t start to pop out at you.
Blessings,
Greg
Image by Shannon Kringen. Sourced via Flickr.
Suggested Reading
This is a sampling of the works that have helped convince me that Revelation is intended to call followers of Jesus to non-violent, self-sacrificial warfare against Satan and the powers and the political regimes under their control.
Bauckham, R. The Theology of the Book of Revel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 The Climax of Prophecy: Studies on the Book of Revelation (Edinburgh: T&T Clark)
Bredin, M.  Jesus, Revolutionary of Peace: A Nonviolent Christology in the Book of Revelation(Carlisle, U.K/ Waynesboro, GA.: Paternoster Press, 2003);
Eller, V. The Most Revealing Book of the Bible: Making Sense out of Revelation (Grand  Rapids, MI: Eerdmans, rpt 1982 [1974]).
Ellul, J. Apocalypse: The Book of Revelation, trans. W. Shriener (Seabury, 1967)
Gorman, M. Reading Revelation Responsibly: Uncivil Worship and Witness: Following the Lamb into the New Creation ( Cascade, 2011)
Hanson, A.T. The Wrath of the Lamb (Seabury, 1957)
Hays, R. The Moral Vision of the New Testament (HarperSanFrancisco, 1996)
Johns, L. L. The Lamb Christology of the Apocalypse of John (Mohr Sieback : Tübingen, 2003).
Kraybill, J. Apocalypse and Allegiance: Worship, Politics and Devotion in the Book of Revelation(Brazos, 2010)
——– Imperial Cult and Commerce in John’s Apocalypse (Sheffield Academic Press, 1996)
Neufeld, T. R. Y. Killing Enmity : Violence and the New Testament (Baker, 2011)
Pilgrim, W. Uneasy Neigbhors: Church and State in the New Testament  (Fortress, 1999).
Swartly, W. Covenant of Peace: The Missing Peace in New Testament Theology and Ethics(Eerdmanns, 2006)
Tonstad, R S. K. Saving God’s Reputation: The Theological Function of Pistis Iesou in the Cosmic Narratives of Revelation (LNTS 337; Edinburgh: T & T Clark)
Yeats, J. Revelation (Herald, 2003)
Yoder, J. The Politics of Jesus (Eerdmans, rev. ed. 1994)

성경적 소명에 대하여

[1] 성경적 소명에 대하여 - 이상룡 선교사 
  성경적 소명에 대하여 (그 불확실성을 중심으로) 

이상룡 선교사 : 동아시아 S족에서 사역중이며, 

이번 특집의 ‘성경적 소명’에 대한 원고청탁은 근래 소명에 대한 재확신을 구하고 있었던 50대의 한 선교사로서 무척이나 힘들었던 것 같다. 근래 육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많이 약해진 상황에서 그동안의 사역 형태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에 봉착해 많은 고민과 씨름을 하게 되었었다. 선교사로 파송될 때에는 소명이 분명했었는데 근래 사역의 형태를 변경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구체적인 하나님의 인도하심이 없어 결국은 사역의 변화를 하지 않는 것이 하나님의 인도하심인 것으로 확신을 갖게 되었다. 이번 글을 쓰면서 소명과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대한 책들을 통해 하나님께서 구체적으로 우리의 소명에 대해 말씀해주시기를 원하는 우리들의 자세에 대해 좀 더 깊게 볼 수 있었다. 두 페이지의 분량에 모든 생각을 적을 수는 없고 그 중에 특별히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소명을 주실 때 개인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말씀하시는지에 대한 부분에 집중해서 보기를 원한다. 

소명의 성경적 정의 
오스 기니스는 그의 책 ‘소명’에서 네 가지로 소명의 성경적 요소를 설명하고 있는데 그 첫째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람들을 부를 때 사용하는 단어로서 ‘부르다’는 뜻이다. 두번째는 창세기 1장에서 하나님께서 빛을 낮이라 칭하신 것인데 이것은 단순한 ‘부르다’는 뜻을 넘어 그것을 창조하고 그 이름의 한 특별한 존재가 되게 하는 의미이다. 나를 부르셨다는 것은 나를 창조하시고 나를 존재하게 하는 것으로서의 부르심이란 뜻이다. 셋째는 저자가 ‘일차적 소명’으로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구원의 의미와 동일한 것이다. 소명이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로 ‘부르셨다’는 것이다. 넷째는 ‘이차적 소명’으로 이미 구원받은 그리스도인으로서 모든 것을 다스리는 주권적인 하나님을 기억하고 우리가 어디서 무엇을 하든 모든 것에서 그 분을 위하여 생각하고 살아야 하는 것으로서의 소명이다. 오스 기니스가 이 정의에서 일차와 이차란 순서를 통해 지적하는 것은 이차적인 소명은 반드시 일차적인 소명의식 위에 세워져야 한다는 것이다. 구원의 확신과 그 삶이 바탕되지 않는 이차적인 소명은 세속화될 수 있기에 바른 소명의 회복을 위해 반드시 소명의 핵심인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헌신이 회복되기를 요청하고 있다. 그리고 또 그는 이차적인 소명을 모든 분야에서 적용하므로 소명이 소위 영적인 소명과 세상적인 소명으로 이원화하는 것을 강하게 금지한다. 성경적인 소명은 선교사와 목사와 같은 분야에서만 아니라 가정주부나 교사, 혹은 택시운전 기사에게도 똑같은 소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말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소명을 개인적이고 구체적으로 주시는가? 
일차적인 소명인 구원의 부르심은 항상 개인적이고 구체적으로 하나님께서 직접 말씀하신다. 그러나 이차적인 소명에 대해서는 일차적인 소명과 같이 개인적이고 구체적으로 하나님께서 직접 말씀하시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 학자들이 많다. 특히 ‘나의 결정과 하나님의 뜻’이란 책을 저술한 게리 프리슨과 로빈 맥슨은 이러한 부정적인 견해를 성경적인 관점에서 아주 잘 설명하고 있는데 이 부분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일독할 수 있는 좋은 책이라고 권하고 싶다. 저자들은 성경적인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네 가지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는데(229쪽) 첫째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인도하심이다. 하나님의 주권적인 뜻은 우주 안에 일어나는 모든 일에 대해 하나님께서 구체적으로 자신의 뜻 안에서 성취해나가시는 것이다. 비록 우리가 이해되지 않는 일이라 할지라도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는 놀라운 계획 가운데서 이루어지는 일들이다. 그러나 이 계획들은 우리에게 노출되어지지 않아 미리 알 수는 없다. 두번째는 하나님의 도덕적인 인도하심인데, 이것은 인간이 어떻게 믿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성경이 말씀하심으로 모두에게 노출되어 있어 우리는 이 성경을 통해 하나님의 뜻에 대해 매일 매일 구체적으로 인도하심을 받을 수 있다. 세번째는 지혜의 인도로서 하나님께서 구체적으로 말씀하지 않는 부분의 결정에 있어서는 성도들은 자유와 책임을 갖고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주시는 지혜로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네번째는 하나님의 특별인도인데 특별한 경우에 하나님께서 초자연적인 계시로 인도하신 경우이다. 저자들은 이 경우에 대해 특별히 관심을 가지고 구체적으로 성경적인 증거를 제시하면서 설명하고 있는데 하나님의 특별한 상황이 아닌 한 이 모양으로 개개인을 인도하지 않으신다는 것이다. 오스 기니스는 이 인도하심을 ‘후발적인 특별한 소명’으로 말하고 있는데 그는 신약성경에서 하나님이 어떤 사람에게 특별한 소명을 주신 예가 없다라고 설명하고 있다(83쪽). 정리해서 말하면 하나님께서는 이차적인 소명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성경의 말씀과 하나님의 은혜 중에 주시는 지혜로서 우리가 스스로 결정내리게 하는 엄청난 자유를 허락하신 것이다. 

이차적 소명에 있어 구체적이지 않은 이유 
제럴드 싯처는 ‘하나님의 뜻’이란 책에서 하나님의 인도하심이 우리에게 구체적이지 않을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우선은 이러한 ‘삶의 불확실성’이 우리로 하여금 삶을 성과 속으로 구분하지 않게 해준다고 했다(44쪽). 만약 하나님께서 뚜렷한 소명을 보여주시면 받은 그 소명의 분야(성)에만 전적으로 헌신하게 되고 그 나머지 분야(속)는 무시하게 되는 인간적인 속성을 간파하신 하나님의 섭리이다. 따라서 하나님은 우리에게 예배드리는 시간만 요구하시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삶 전체를 원하신다. 또 한가지 불확실성의 이유는 우리의 삶에서 하나님을 밀쳐내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하나님께서 뚜렷한 소명을 보여주시면 그 소명을 이루는 ‘미래’에만 관심을 가지고 ‘현재’에 충실하지 않을 것을 미리 방지한 것이다. 진정한 소명은 내일이 아니라 ‘오늘’이다. 나중이 아니라 ‘지금’이다. ‘오늘’이 모여 진정한 소명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마지막 불확실성의 이유는 우리에게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자유와 확신을 가져다 준다. 우리가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나라를 가장 염두에 두고 자유롭게 어느 길을 택하여 최선을 다한다면 바로 그 곳에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는 확신을 주신다는 것이다. 

소명과 전 인생을 통한 투쟁 
하나님께서 우리의 소명에 대해 개인적이고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시기를 원하는 우리의 일반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하나님께서 우리의 갈 길을 도와주시지 않고 내팽개치시는 것 같으나 여기에 하나님의 무한한 자유와 사랑과 하나님의 길이 참으시는 인내가 있음을 발견한다. 넓은 축구 경기장을 우리에게 주시고 축구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시면서 우리의 온 마음과 정성과 힘을 다해 마음껏 즐거운 경기를 펼칠 것을 허락하고 계신 것이다. 어떤 측면에서는 소명이 이렇게 개인적으로 아주 상세하고 구체적이지 않은 점이 우리의 삶에 있어 전 인생을 통하여 계속적인 투쟁을 하게 만든다. 먼저 자신이 찾은 그 소명이 유사품이나 가짜가 아닌지 계속적인 검증 작업을 하도록 하며 한편으로는 자신이 찾은 소명이 변질되지 않도록 계속 자신과 싸우게 한다. 이 작업은 소명을 찾는 과정 이상으로 힘들고 소중한 일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끊임없이 매일의 삶 속에서 우리의 일차적인 구원을 회복하며 하나님께서 주시는 힘으로 이 투쟁을 계속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참고도서 
오스 기니스, “소명” IVP 
제럴드 싯처, “하나님의 뜻” 성서유니온선교회 
게리 프리슨 & 로빈 맥슨, “나의 결정과 하나님의 뜻” 생명의 말씀사 
  
http://gbt.or.kr

신앙고백적 복음주의자 연합 (The Alliance of Confessing Evangelicals) 캠브리지 선언(1996)

캠브리지 선언

1996년 4월 20일

오늘날 복음주의 교회들은 점점 더 그리스도의 영이 아닌 이 시대의 영의 지배를 받아가고 있다. 복음주의자로서, 우리는 이 죄를 회개하고 역사적인 기독교의 믿음을 회복할 것을 스스로에게 요구한다.


역사의 흐름 속에은 변화한다. 우리 시대에는 ‘복음주의’라는 단어에 이 일이 일어났다. 과거에 이 말은 여러 다양한 교회의 전통들 가운데 속한 그리스도인들을 결속시키는 끈의 역할을 했다. 역사적인 복음주의 고백적이었다. 그들은 위대한 공의회가 정의한 핵심 진리들을 받아들였다. 더 나아가 복음주의자들은 16세기 개신교 종교개혁의 ‘오직’에 담긴 유산 또한 공유하였다.
오늘날 종교개혁의 빛이 심각하게 희미해졌다. 그 결과 ‘복음주의’라는 단어가 너무 많은 것을 포괄하여서 그 의미를 잃어버리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우리는 그 단어가 수 세기에 걸쳐 이룩한 결속을 잃어버릴 위기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난국으로 인해, 또한 그리스도와 그의 복음과 교회를 향한 우리의 사랑으로 인해, 우리는 종교개혁과 역사적 복음주의의 핵심 진리들에 대한 헌신을 새롭게 확인하고자 한다. 우리가 이 진리들을 확인하려 하는 것은 전통 때문이 아니라, 그것들이 성경의 핵심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오직 성경: 권위의 쇠퇴
성경만이 교회 생활의 무오한 규범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복음주의 교회는 성경을 그 권위 있는 기능으로부터 분리해버렸다. 실제로는 교회가 문화의 인도를 받는 경우가 너무 흔하다. 교회가 무엇을 원하고, 어떻게 기능하며, 무엇을 제공하는지에 대해 하나님의 말씀보다 치료 기술, 마케팅 전략, 엔터테인먼트 세계의 소리가 할 말이 더 많은 경우가 많다. 음악에 담긴 교리적 내용을 포함해 예배에 대해 그들이 당연히 해야 할 감시를 목사들은 태만히 하였다. 성경의 권위가 실제로는 버려지고, 성경의 진리들 그리스도인의 양심에서 사라지고, 그 교리들이 중요성을 잃어감에 따라 교회는 점점 더 그 고결함과 도덕적 권위와 방향성을 잃어갔다.
우리는 소비자의 감지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기독교 신앙을 변형시키는 것이 아니라 율법을 참된 의로움의 유일한 기준으로, 복음을 구원하는 진리의 유일한 공표로 선언해야 한다. 성경의 진리는 교회의 지각과, 양육과, 훈련에 필수불가결하다.
성경이 우리를 우리의 인지된 필요를 넘어 참된 필요로 데려가야 하며, 자신을 매력적인 이미지와 상투적 말들과 대중문화가 주는 희망들과 우선순위들을 통해 바라보는 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켜 주어야 한다. 오직 하나님의 진리의 빛 안에서만 우리 자신을 바르게 이해하고 우리의 필요에 대한 하나님의 공급을 바라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교회는 반드시 성경을 가르치고 설교해야 한다. 설교는 설교자의 견해나 이 시대의 사상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성경과 그 가르침들에 대한 강해여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주신 것 외에 무엇으로도 만족해서는 안 된다.
개인이 경험하는 성령님의 역사는 성경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성령님은 성경과 무관한 방법으로 말씀하시지 않는다. 성경이 없었다면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은혜를 결코 알 수 없었을 것이다. 영적인 경험이 아닌 성경 말씀이 진리의 시금석이다.
[제1명제: 오직 성경]우리는 무오한 성경이 기록된 신적 계시의 유일한 근원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 오직 성경만이 양심을 구속할 수 있다. 오직 성경만이 우리가 죄로부터 구원 받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가르치며, 모든 그리스도인의 행동은 오직 성경으로 판단 받아야 한다.우리는 어떤 신조나 공의회나 개인이 그리스도인의 양심을 구속할 수 있음을 부인한다. 성령이 성경에 진술된 것에 무관하게, 혹은 반하여 말씀하신다거나 개인의 영적 경험이 계시의 수단일 수 있다는 것을 부인한다.

오직 그리스도: 그리스도 중심 신앙의 쇠퇴
복음주의 신앙이 세속화됨에 따라 그 관심사도 문화의 관심사로 더럽혀졌다. 그 결과는 절대적 가치의 상실과 자유방임적 개인주의이며, 건강함이 거룩함을 대치하고, 회복이 회개를, 직관이 진리를, 느낌이 믿음을, 우연이 섭리를, 그리고 즉각적인 즐거움이 영속적인 소망을 대치한 것이다. 그리스도와 그의 십자가는 우리 시야의 중심에서 사라졌다.
[제2명제: 오직 그리스도]우리는 우리의 구원이 오직 역사적인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에 의해 성취됨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 그분의 죄 없는 삶과 오직 대속적인 속죄만이 우리의 칭의와 성부와의 화해를 가져올 수 있다.만일 그리스도의 대속사역이 선언되지 않고, 그리스도와 그의 사역에 대한 믿음이 요청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복음이 선포된 것이 아니다.

오직 은혜: 복음의 쇠퇴
인간의 능력에 대한 부당한 신뢰는 타락한 인간 본성의 산물이다. 자존감의 복음으로부터 건강과 부의 복음에 이르기까지, 복음을 팔아야 할 상품으로 변형시키고 죄인들을 물건을 사고자 하는 소비자로 변형시킨 사람들로부터 단순히 효과로 복음의 진실성을 평가하는 사람들에 이르기까지 현재 복음주의 세계는 이 거짓 확신으로 가득하다. 교회들의 외적인 서약에도 불구하고 이는 칭의 교리의 입을 막는 것이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은혜는 구원의 필요 인자일 뿐 아니라 유일한 동력인(efficient cause)이다. 우리는 사람이 영적으로 죽은 상태로 태어나며 중생케 하시는 은혜에 협력할 능력조차 없음을 고백한다.
[제3명제: 오직 은혜]우리는 구원이 오직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 그의 진노로부터 구출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 우리를 죄의 속박에서 해방시키고 영적 죽음에서 영적 생명으로 일으켜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것은 성령님의 초자연적 역사이다. 우리는 구원이 어떤 의미에서건 사람의 일이라는 것을 부정한다. 사람의 수단, 기술 혹은 전략은 그 자체로는 이 변화를 일으킬 수 없다. 우리의 중생하지 않은 본성에서는 믿음이 나오지 않는다.

오직 믿음: 가장 중요한 신조의 쇠퇴
칭의는 오직 그리스도 때문에 오직 은혜로 말미암아 오직 믿음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것은 교회가 서고 넘어지는 신조이다. 오늘날 이 신조가 종종 무시되고, 왜곡되고, 때로는 자신을 복음주의자라고 주장하는 지도자들과 학자들과 목회자들에 의해 부정되기까지 한다. 비록 타락한 사람의 본성은 그리스도의 전가된 의의 필요성을 인정하기를 언제나 싫어했지만, 현대성은 성경의 복음에 대한 불만의 불꽃에 기름을 퍼부었다. 우리는 이 불만이 우리 사역의 본질과 설교에 영향을 끼치도록 허용했다.
교회성장운동을 하는 많은 이들은 성공적 복음 전파를 위해서는 회중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를 갖는 일이 선포되는 성경의 진리만큼이나 중요하다고 믿는다. 그 결과 신학적인 확신과 사역이 유리되는 일이 종종 벌어진다. 많은 교회들의 마케팅 지향성은 이보다 더 나아가 성경 말씀과 세상의 구분을 없애 버리고,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거치는 것을 없애며, 기독교의 믿음을 세상 사업체의 성공을 위한 원리들과 방법론들로 축소시켰다. 
이런 운동들은 십자가의 신학을 믿을는지는 모르겠으나 실제로는 십자가에서 그 의미를 제하여 버린다. 그리스도가 우리의 대리자가 되어 하나님이 우리의 죄를 그에게 전가하시고, 우리에게 그의 의를 전가하시는 것만이 복음이다. 그가 우리의 심판을 짊어지셨기 때문에 이제 우리는 영원히 용서 받은 자, 영접 받아 하나님의 자녀로 입양된 자로서 그의 은혜 가운데 살아간다.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이 아니고서는 하나님이 우리를 받아주실 아무런 근거도 없다. 우리의 애국심이나 교회에 대한 헌신, 도덕성은 근거가 되지 못한다. 복음은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 그리스도 안에서 하신 일을 선포한다. 우리가 하나님께 도달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말해주는 것이 아니다.
[제4명제: 오직 믿음]우리는 칭의가 오직 그리스도 때문에 오직 은혜로 말미암아 오직 믿음을 통해 이루어짐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 유일하게 하나님의 완전한 공의를 만족시킬 수 있는 그리스도의 의가 칭의시에 우리에게 전가된다.우리는 칭의가 우리 안에서 발견되는 어떤 공로나 우리 안에 그리스도의 의가 주입되는 것에 근거한다는 말을 부정한다. 또한 스스로를 교회라고 주장하면서도 오직 믿음을 부정하거나 정죄하는 기관이 합당한 교회로 인정될 수 있다는 말을 부정한다.

오직 하나님께 영광이: 하나님 중심적 예배의 쇠퇴
지금까지 교회에서 성경의 권위가 상실되거나, 그리스도가 다른 것으로 대치되거나, 복음이 왜곡되거나 믿음이 부패하는 일은 언제나 한 가지 이유 때문에 일어났다. 우리의 관심사가 하나님의 관심사를 대치하고, 우리가 하나님의 일을 우리의 방법대로 했기 때문이다. 오늘날 교회의 삶에서 하나님 중심성이 사라진 것은 일반적이고도 통탄할 만한 일이다. 우리가 예배를 엔터테인먼트로, 복음 전파를 마케팅으로, 믿음을 테크닉으로, 선한 사람이 되는 것을 자신에 대해 좋게 느끼는 것으로, 신실성을 성공적인 사람이 되는 것으로 변형시키게 된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그 결과 하나님과 그리스도와 성경은 우리에게 너무도 의미 없고 너무도 하잘것없는 존재가 되어 버렸다.
하나님은 사람의 야망이나 갈망, 소비욕, 혹은 우리의 개인적인 영적 관심사를 만족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분이 아니다. 예배에서 우리는 우리의 개인적 필요의 만족이 아닌 하나님께 초점을 맞춰야 한다. 우리가 아닌 하나님이 예배의 주인이시다. 우리 자신의 왕국이나 인기, 혹은 성공이 아니라 하나님의 나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제5명제: 오직 하나님께 영광이]우리는 구원이 하나님의 것이며 하나님에 의해 성취되기 때문에 그것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일이며, 우리는 언제나 그를 영화롭게 해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 우리는 우리의 모든 삶을 하나님 앞에서, 하나님의 권위 아래, 오직 그의 영광을 위해 살아야 한다.우리는 예배를 엔터테인먼트와 혼동하거나, 설교에서 율법이나 복음을 무시하거나, 자기개발, 자존감, 자아실현이 복음의 대안이 되도록 허락하면서도 합당하게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다는 말을 부정한다.

회개와 개혁으로의 초청
과거 복음주의 교회의 신실성은 오늘날의 모습과 극명한 대조를 보인다. 이십 세기 초 복음주의 교회들은 선교를 위한 놀랄만한 시도를 지속하였고, 성경적 진리와 그리스도의 나라의 대의를 섬기기 위한 신앙 기관들을 많이 설립하였다. 그 때는 그리스도인의 품행과 기대가 문화 속의 그것과는 현저히 다른 시기였다. 오늘날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오늘날의 복음주의 세계는 성경적 정절과 도덕적 범위와 선교적 열정을 잃어버리고 있다.
우리는 우리의 세상성을 회개한다. 우리는 전혀 복음이 아닌 세속 문화의 ‘복음’에 영향 받아 왔다. 우리에게는 진지한 회개가 없었고, 스스로의 죄에 대해서는 눈 먼 채 다른 사람의 죄만 뚜렷이 보았으며,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행하신 구원 사역에 대해 다른 사람들에게 적절하게 설명하는 일에 있어 변명의 여지 없는 실패를 저질렀다. 이로 인해 우리는 교회를 나약하게 만들어왔다.
우리는 또한 이 선언문에서 논의된 문제들에 관하여 하나님의 말씀에서 벗어나 잘못을 저지르고 있는 복음주의자들이 돌아올 것을 진심으로 요청한다. 여기에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분명한 믿음이 없이도 영생의 소망이 있다고 선언하는 사람들, 이생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거부한 자들이 영원한 고통을 통해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을 받게 되는 것이 아니라 멸절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비록 칭의라는 성경의 교리를 믿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복음주의자와 로마 가톨릭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포함된다.
신앙고백적 복음주의자 연합 (The Alliance of Confessing Evangelicals)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교회의 예배와 사역과 정책과 삶과 전도에서 이 선언문을 이행할 것을 촉구한다.
그리스도를 위하여, 아멘.

신앙고백적 복음주의자 연합 실행 위원회 (1996)
존 암스트롱 (Dr. John Armstrong)알리스테어 벡 (The Rev. Alistair Begg)제임스 M. 보이스 (Dr. James M. Boice)로버트 갓프리 (Dr. W. Robert Godfrey)존 D. 하나 (Dr. John D. Hannah)마이클 S. 호튼 (Dr. Michael S. Horton)로즈마리 젠센 (Mrs. Rosemary Jensen)R. 알버트 몰러 (Dr. R. Albert Mohler, Jr.)로버트 M. 노리스 (Dr. Robert M. Norris)R. C. 스프룰 (Dr. R.C. Sproul)진 에드워드 비스 (Dr. Gene Edward Veith)데이빗 웰스 (Dr. David Wells)루더 위틀록 (Dr. Luder Whitlock)J. A. O. 프레우스 3세 (Dr. J.A.O. Preus, III)

(이 선언문은 The Alliance of Confessing Evangelicals의 허락을 받아 예수가족교회 임범진 집사가 번역한 것입니다. 인용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www.alliancenet.org로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