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경의 도전
o 해방신학
o 과정신학
o 자유주의
o 신정통주의 등
• 무오성의 의미
o 무오성이란, “신구약 성경 66권이 가르치는 바 – 내용은 그것이 무엇에 관한 것이든 – 신앙, 실천, 역사, 지리, 연대, 과학 등 – 그 원본에 있어서는 아무런 오류가 없는 진리이다.”는 의미이다.
o 성경의 영감은 모든 내용이 정확하게 기록되었다는 것을 보장하지만, 성경이 포함하고 있는 바가 다 진리인 것은 아니다.
o 성경은 사탄의 거짓말도 포함하고 있고(창3:4), 라합의 거짓말도 포함하고 있지만(수2:4), 성경이 이것을 가르치고 있지는 않다. 성경이 바보들의 말을 정확하게 기록은 하고 있지만(시14:1), 무신론을 가르치거나 주장하고 있지는 않다. 성경이 다윗의 부도덕한 행위를 기록하였지만(삼하 11:4), 부도덕을 가르치거나 주장하고 있지는 않다.
o 오직 성경이 가르치거나 주장하는 바만이 절대무오의 진리인 것이다.
• 성경의 무오설에 대한 반론
o David Hubbard, Daniel Fuller, Jack Rogers : 성경이 구원과 실천에 관한 문제를 가르칠 때에는 오류가 없지만, 그 외의 부분인 역사, 연대, 지리, 과학 등에 있어서는 오류가 있을 수 있고, 또 있다고 주장함.
o 무오설은 성서적 개념이 아니다 – 성경에서는 자체의 영감에 대해서는 주장하지만, 자체의 무오성을 언급한 적은 없다.
o 성경의 무오성은 원본에만 국한되는 것이며, 오늘 날 원본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무오설이란 큰 의미가 없다. 따라서 성경에 나타난 미세한 내용의 진실 여부보다도 예수 그리스도와의 개인적 관계가 중요하다고 본다. ↔ 그러나 무오한 원본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본은 의미가 없고, 기독교는 그 바탕을 잃어버리고 만다. 또한, 성경이 어떤 것은 허위라면, 예수 그리스도나 그가 계시하는 구원에 관한 성경의 가르침이 사실이라는 것을 어떻게 확신할 수 있는가? 만약, 성경이 무오하지 않다면,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가르침을 바로 이해할 수 없다.
• 무오성에 대한 증거
o 성서적 증거 : 디후3:16, 벧후1:20-21; 마5:18, 요 10:34-35
o 철학적 증거 : 인식론적으로 볼 때, 성경 전체가 다 무오하지 않으면, 성경의 어느 부분도 무오하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없다.
o 역사적 증거 : 2세기에 활동했던 초대교회 사도 시대의 교부들과 변증가들은 성경에 대한 성경 자체의 선언, 즉 무오성을 분명히 가르쳤다.
사도시대 교부 클레멘트, “성경은 성령의 말씀이며, 성령을 통한 말씀이다”라고 전했다.
o 고고학적 증거 : Nelson Glueck, “고고학적 발굴이 성경의 기록과 충돌된 적은 전혀 없다.”
• 성경의 난제Discrepancies in the Bible
o 성경이 진리라고 하여 성경의 모든 부분이 다 명백하여서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성경에는 참으로 이해하기 힘든 부분도 있고, 일견에서는 오류와 같이 보이는 부분도 있다. 어떤 부분은 참으로 설명하기 힘들다.
o 성경은 과학이나 역사 교과서의 목적으로 쓰여진 책이 아니기 때문에, 성경을 이런 관점에서 오류 운운하는 것 자체가 잘못이다.
o 성경이 쓰여진 목적은, 요20:31,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
o 박형룡, “비평가들이 지적하는 소위 성경의 오류들은 난관들이요 증명된 오류들은 아니다.”
o 우리는 예수가 백퍼센트 사람이기 때문에 죄를 지을 수 있고, 죄가 있다고 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성경의 저자는 하나님이고 성경은 백퍼센트 인간의 책이기 때문에 오류가 있다고 선험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o 마22:29,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희가 성경도, 하나님의 능력도 알지 못하는 고로 오해하였도다”
o 막12:27, “하나님은 죽은 자의 하나님이 아니요 산 자의 하나님이시라 너희가 크게 오해하였도다 하시니라”
o 벧후1:16,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능력과 강림하심을 너희에게 알게 한 것이 교묘히 만든 이야기를 따른 것이 아니요 우리는 그의 크신 위엄을 친히 본 자라”
o *성경을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적용되어야 할 한 가지 원칙은 독자가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사도 바울은 “육에 속한 사람은 하나님의 성령의 일을 받지 아니하니, 저희에게는 미련하게 보임이요, 또 깨닫지도 못하나니, 이런 일은 영적으로라야 분별함이니라.”(고전 2:14)
o 이러한 난제에 대한 우리의 태도
하나님을 신뢰하면서 기도하는 태도를 갖는게 중요함
그것이 오류라고 속단하기 보다는 성경은 오류가 없다는 확신으로 답을 찾아보는 것이 필요함
때로는 학자들에게 문의하거나, 책을 통해서 답을 찾을 수 있음
어느 방법으로도 해결이 불가능한 경우, 해답을 기다리는 것도 필요하다. 어떤 경우에는 현재 지식수준으로 이해되지 않다가 나중에 답을 찾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읽고 있는 성경이 대부분 번역판이라는 것을 인지하자. 번역판에서 풀리지 않는 의문이 원어에서는 풀리는 경우도 있다.
잘못된 해석으로 인해 난제가 되기도 하기 때문에, 나의 해석이 올바른지 점검할 필요도 있다.
• 무오성에 대한 오해
o 무오성은 번역판에 적용되지 않고 원본에만 적용된다.
o 성경의 기자가 사실의 전부를 다 기록하고 있다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o 무오성은 현상적 언어의 사용을 배제하지 않으며, 성경의 한 저자가 다른 저자를 축자적으로 인용하고 있다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신약에서 구약을 인용한 방법이 오늘 날의 기준으로 볼 때는 상당히 부정확하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그러나 오늘 날의 기준으로 당시의 상황을 판단해서는 안된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