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Emotion can spread rapidly through large crowds, as the massive social proof leads us into extreme states. This explains much of crowd behavior, where ‘normal’ people act in ways they may later deeply regret.
Social contagion effects can also occur when people believe they have been infected by a disease. As more people show the (psychosomatic) symptoms, this is taken as proof that ‘I am bound to get it’.
Example
Just watch football matches and see how the crowd reacts almost as one. Or go along and experience it for yourself!
So what?
Using it
To wind someone up, take them to an exciting mass-audience event, from sports to rock concerts. Whilst they are in the flow of the moment, start whooping and dancing wildly. They may well join in. Then take a photo of them and show all your friends...
Defending
When at crowd events, by all means get swept up in the enjoyment, but keep a part of you separate, watching for inappropriate behavior in other people. Let it step in to prevent you from slipping over the cliff into hysteria.
사회 전염(Social Contagion) - 세상을 살다 보면 어떤 경우에는 다른 사람들에게 무의식적으로 동조하고, 어떤 경우에는 집단 속에서 자기 자신을 잃어버린 채 행동하기도 한다. 그런 현상은 집단의 한 점에서 시작된 소용돌이가 집단 전체로 전염되기 때문에 나타난다. 프랑스의 사회학자 르봉은 이런 현상을 '사회 전염'이라고 불렀다. 집단 행동을 병이 전염되어 퍼져나가는 현상에 비유한 것이다. 세균과 바이러스가 질병을 옮기는 것과 같이 사람들의 정서와 행동이 한 사람에서 다른 사람에게로 옮겨지는 현상이 사회 전염이다. 이런 현상은 집단의 한 지점으로부터 원을 그리기 시작해 점차 큰 원을 그리며 확산된다. 심리적으로도 무의도적이지만 서로 동일한 심리상태가 되어버리는 현상임.
사회 전염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도덕심, 가치 체계, 사회적 규칙들, 책임감에 의한 행동 통제 기제가 무너지고 원초적인 공격성과 성충동들이 나타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런 현상은 일상 생활에서도 흔히 나타난다. 가령 한 사람이 하품을 하면 다른 사람도 하품을 하고, 한 사람이 팔짱을 끼면 다른 사람도 팔짱을 끼고, 한 사람이 담배를 피면 다른 사람도 담배를 꺼내 문다.
그리고 강의실에서도 질문 있으면 하라고 하면 서로 눈치만 보고 가만히 있다가 한 학생이 질문하기 시작하면 서로 질문하려고 손을 든다. 그뿐 아니라 사회 전염은 사회적으로도 나타난다. 가령, 어떤 지역에서 누가 초인종에 불을 질렀다는 소식이 전해지면 나라 전체가 연쇄 방화에 시달리고, 한 회사에서 노사 분규가 시작되면 전국적으로 노사 분규가 퍼지고, 유언비어는 살을 덧붙여 퍼져나간다.
<참고문헌>
이혼이 전염되는 사회
http://blog.naver.com/k2029041/10091663553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