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하심, 이찬수 목사


"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새 힘을 얻으리니 독수리가 날개치며 올라감 같을 것이요 달음박질하여도 곤비하지 아니하겠고 걸어가도 피곤하지 아니하리로다." (사40.31)

이 구절은 독수리가 자기의 큰 날개로 열심히 날갯짓해서 창공을 비상하는 것이 아니다. 사실 독수리는 날기에 굉장히 열악한 신체 조건을 갖추고 있다. 활짝 펴면 2미터에 이르는 육중한 날개를 지녔기 때문에 그것이 오히려 하늘을 나는 데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독수리는 자기 날갯짓 대신에 공기의 흐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는 방법을 사용한다. 태양열이 땅에 비취면 공기가 따뜻해지고 그 따뜻한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갖게 되고, 그 과정에서 '상승 온난 기류'가 형성된다. 그러면 독수리는 그 기류를 찾아 들어가 날개를 펼친 상태로 바람을 타고 높이 날아오르는(soar on) 것이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제 스스로 날아보려고 아둥바둥거리며 산다. 그들의 모습은 마치 참새와 같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참새보다는 독수리가 높이 난다. 더군다나 자기 날갯짓으로 살아가는 존재는 금방 지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는 독수리처럼 하나님께서 주시는 '영적 상승 온난 기류 (은혜)'를 찾아야 한다. 그리고 그 상승 기류를 만날 때 독수리처럼 날개를 펴서 그 상승 기류(은혜)에 내 몸을 맡겨야 한다.

신앙생활이란 무엇인가?  신앙생활은 특별한 것이 아닌다.  세상 가운데 살던 우리가, 세상의 가치관에 익숙하던 우리가 내게 익숙한 가치관과 관점내려놓고 '예수 그리스도의 관점'으로 덧입으려고 애쓰며 몸부림치는 것, 이것이 신앙생활이다.

*관점: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할 때, 그 사람이 보고 생각하는 태도나 방향 또는 처지.

인간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환영/존중/존귀/인정받고 싶어하는 마음의 예:
[영국의 문인 부르크가 어느 날 영국에서 미국으로 떠나게 되었는데, 부두에 도착해보니 전송하는 사람들로 북적거렸다고 한다. 그런데 정작 자신을 전송해주러 나온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는 것을 보고 부둣가에서 놀고 있는 한 꼬마에게 6실링을 주며 이렇게 부탁했다.
"얘야, 배가 떠나면 나를 향해 열렬히 손을 흔들며 전송해다오."
꼬마는 부르크의 제안을 흔쾌히 받아들였고, 그를 태운 배가 떠나자 손을 좌우로 크게 흔들었다. 그런데 부르크가 이 광경을 보고 쓴 글이 매우 재미있다.
"돈 받고 흔드는 손을 보고 나는 더 고독을 느끼게 되었다."]

성도들의 기도내용을 가만히 들어보면, 자신의 관점을 가지고 하나님을 설득하는 경우가 많다. "나의 원대로 마옵시고 하나님의 원대로 하옵소서" (마26.39)

'밤 사경'이 필요하다.
*밤 사경: 자신이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고백하게 되는 때. (마 14)

호저 (고슴도치과)

우리는 항상 불안하고 두려워한다. 미국 사람들이 일 년 동안 신경안정제와 수면제를 구입하는 데 드는 비용이 무려 25억 달러라고 한다. 인류 최초로 찾아온 두려움은 하나님과의 관계가 어긋난 데서부터 시작됐다. (창 2.8-10)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두려움을 이길 수 있는 세 가지 선물:
1. 능력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것은 두려워하는 마음이 아니요 오직 능력과 사랑과 절제하는 마음이니" (딤후 1.7)
- 내적으로 강건해지는 것.
"그의 영광의 풍성함을 따라 그의 성령으로 말미암아 너희 속사람을 능력으로 강건하게 하시오며" (엡3.16)
- 보호자가 있는 인생과 보호자가 없는 인생
"다만 여호와를 거역하지는 말라 또 그 땅 백성을 두려워하지 말라 그들은 우리의 먹이라 그들의 보호자는 그들에게서 떠났고 여호와는 우리와 함께 하시느니라 그들을 두려워하지 말라 하나" (민14.9)
- 들린대로 행하시는 하나님
"그들에게 이르기를 여호와의 말씀에 내 삶을 두고 맹세하노라 너희 말이 내 귀에 들린 대로 내가 너희에게 행하리니" (민14.28)

2. 사랑
"사랑 안에 두려움이 없고 온전한 사랑이 두려움을 내쫓나니 두려움에는 형벌이 있음이라 두려워하는 자는 사랑 안에서 온전히 이루지 못하였느니라" (요일4.18"

3. 절제
칼이 날카로울수록 칼집이 필요하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